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01 14:12:29      ·조회수 : 2,777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지난해 2조 1000억대 돌파 ‘상승세’
제주일보 9/1 김승종 기자
최근 5년 동안 1차산업 분야의 조수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1차산업 분야의 조수입을 집계한 결과 2001년 1조5255억원에서 지난해 2조1402억원으로 6147억원(40.3%)이 늘었다.

농산물은 2001년 8284억원에서 지난해 1조1381억원으로 3097억원(37.4%)이 증가했다.

감귤의 경우 2001년 3617억원에서 지난해 6000억원으로 2383억원(65.9%), 채소류 조수입도 2001년 1856억원에서 지난해 2862억원으로 1006억원(54.2%)이 각각 늘어났다.

반면 식량작물은 2001년 1603억원에서 지난해 1325억원으로 278억원(17.3%)이 줄어들었다.

특용작물과 화훼류는 약간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감귤을 제외한 기타 과수는 감소세를 보였다.

수산물은 2001년 3785억원에서 지난해 5295억원으로 1510억원(39.9%)이 늘었다.

축산물도 2001년 3186억원에서 지난해 4725억원으로 1539억원(48.3%)이 증가했다.

그런데 지난해와 2004년을 비교할 때 1차산업 분야의 조수입은 수·축산물의 증가세에 힘입어 전체적으로는 다소 증가했으나 농산물 조수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차산업 분야의 총 조수입은 2004년의 2조 845억원에 비해 557억원(2.7%)이 증가했다.

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농산물의 경우 2004년의 1조1871억원에 비해 490억원(4.1%)이 줄었다.

감귤 조수입이 2004년의 6105억원에 비해 105억원(1.7%)이 줄었고 특용작물도 33억원(6.4%)이 감소했다.

특히 식량작물은 2004년의 1837억원에 비해 512억원(27.9%)이 줄어들었다.

농산물 중 채소류와 기타 과수, 화훼류 등의 조수입은 증가했다.

수산물 조수입은 2004년의 4627억원에 비해 668억원(14.4%)이 많아졌고 축산물은 377억원(8.7%)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제주도는 31일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를 열고 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1차 산업 육성 방안을 설명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99 감귤 수출 확대 ‘맞손’…서귀포농협·해피푸드패밀리 업무협약 1 기획정보과 2023-10-12 1796
1998 감귤 수확 인부로 가장까지.. 도난 예방 특별 방범활동 1 기획정보과 2023-10-10 2239
1997 제주특별자치도,올해 하반기 노지 감귤 인력 1만 5천여 명 투입 예정 1 기획정보과 2023-10-06 1712
1996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으로 둔갑시킨 선과장 적발 1 기획정보과 2023-10-05 3280
1995 출하초기 단속으로 비상품감귤 유통 막는다 1 기획정보과 2023-10-05 2184
1994 노랗게 만들려고 가스까지…추석 앞두고 비상품 제주감귤 속출(종합) 1 기획정보과 2023-09-18 2192
1993 2023년산 제주 노지감귤 곧 출하…덜 익은 감귤 등 유통 단속 강화 1 기획정보과 2023-09-13 1890
1992 감귤 수확 못하면 어쩌나..일손 없어 '베트남 인력' 투입 1 기획정보과 2023-09-13 1478
1991 추석 앞 둬 제주 감귤 '비상품' 유통 속출…이미지 저하 우려 1 기획정보과 2023-09-13 1663
1990 제주시농협-㈜효성에너지팜 비상품 감귤 활용 상품개발 MOU 체결 [2023. 9. 4 월]| 1 기획정보과 2023-09-12 1936
1989 제주, 덜 익은 비상품 감귤 몰래 유통하려던 선과장 적발 1 기획정보과 2023-09-11 1830
1988 올해산 감귤값 ‘파란불’…부정 유통 막아야 1 기획정보과 2023-09-11 1513
1987 노지감귤 몸값 오르고 있다 1 기획정보과 2023-09-11 1514
1986 올해 제주산 노지감귤 생산량 45만2100톤 전망...제주시 착과량 뚝↓ 1 기획정보과 2023-09-04 1695
1985 감귤 열매까지 '쩍'.. 뜨거운 땅과 바다 1 기획정보과 2023-08-24 1719
1984 "산 함량 낮추는 관수 및 품질관리, 고품질 감귤 비율 높여" 1 기획정보과 2023-08-24 1703
1983 제주도, 풋귤에 농약 검사비·택배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8-18 1969
1982 제주 풋귤축제 1300명 몰리며 성료 1 기획정보과 2023-08-17 1735
1981 시설하우스에 집중된 FTA기금 감귤 지원사업, 이대로 좋은가 1 기획정보과 2023-08-14 1637
1980 "열매 더 맺히긴 했는데..." 고온다습 날씨 생육 영향 1 기획정보과 2023-08-07 178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