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패드(fad)의 추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0 09:32:34      ·조회수 : 3,200     


<b><font size=5>
패드(fad)의 추방 </font>

2007년 03월 20일 (화) 제주일보 <font size=3>


김기원 제주도립예술단 예술감독

끝없이 전해지는 갈등과 충돌 소식에, 떠도는 나그네가 되고 싶은 생각이 문득 문득 마음에 자리한다. 저마다 고향과 후손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을 두고는 있지만 민초들 중에서는 곧이곧대로 받아 들이기를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어떤 연유에서일까?

우리민족의 행동을 ‘냄비에 물을 끊는 것’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멀리 ‘국채보상운동’에서 시작하여 가까운 사례를 든다면 IMF때 전 국민의 ‘금 모으기’ 운동까지, 이를 보는 세계 사람들의 시선은 경악, 바로 그것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들의 생활 자세는 나라를 위하여 온몸을 던졌던 일치된 국민 행동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나만을 생각하는 사회로 치닫고 있다.

제주사회도 지금 냄비유형(?)인 패드시책으로 인해 심한 후유의 몸살을 앓고 있다.

패드(fad)는 일시적으로 떴다가 사라지는 유행을 말한다. 사전적 해석은 ‘변덕’이고, 영어에선 ‘craze-, 미치게하다 또는 발광하다’로 역시 반짝 유행을 의미하고 있다.

제주도 ‘패드적 사고‘의 후유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지금 줄을 이어 그 처방을 기다리고 있다.

너도 나도 돈이 된다 하여 심었고 이제 한미 FTA에 운명이 걸린 감귤, 해마다 홍역 치르듯 차질을 빚는 당근 양파 마늘의 생산과 유통, 유사 축제의 정리 등을 듣다보면 이는 소위 ‘된다는 곳’으로의 쏠림을 막지 못한데서 기인했고 해법은 방황 중이란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지금 우리는 국제자유도시 제주특별자치도를 어떻게 만들고자 생각하고 있는가. 오늘에 주어질 핑크빛 혜택을 위한 계획 수립에만 골몰하고 있지는 않은가? 과연 오늘에 기초를 두고 초석을 다져 먼 훗날 제주를 평화롭고 풍요롭게 번영시킬 대계(大計)를 세우고 있기는 한가?

지금 도민사회는 패드시책 추진의 시행착오 때문에 엄청난 예산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혼란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는 사실을 당국은 인식하고 있는가?

유행병처럼 만연한 시책수립과 추진을 감시하고 추방할 열린의식과 혜안이 절실한 시기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99 감귤 수출 확대 ‘맞손’…서귀포농협·해피푸드패밀리 업무협약 1 기획정보과 2023-10-12 1723
1998 감귤 수확 인부로 가장까지.. 도난 예방 특별 방범활동 1 기획정보과 2023-10-10 2204
1997 제주특별자치도,올해 하반기 노지 감귤 인력 1만 5천여 명 투입 예정 1 기획정보과 2023-10-06 1676
1996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으로 둔갑시킨 선과장 적발 1 기획정보과 2023-10-05 3242
1995 출하초기 단속으로 비상품감귤 유통 막는다 1 기획정보과 2023-10-05 2150
1994 노랗게 만들려고 가스까지…추석 앞두고 비상품 제주감귤 속출(종합) 1 기획정보과 2023-09-18 2152
1993 2023년산 제주 노지감귤 곧 출하…덜 익은 감귤 등 유통 단속 강화 1 기획정보과 2023-09-13 1851
1992 감귤 수확 못하면 어쩌나..일손 없어 '베트남 인력' 투입 1 기획정보과 2023-09-13 1443
1991 추석 앞 둬 제주 감귤 '비상품' 유통 속출…이미지 저하 우려 1 기획정보과 2023-09-13 1628
1990 제주시농협-㈜효성에너지팜 비상품 감귤 활용 상품개발 MOU 체결 [2023. 9. 4 월]| 1 기획정보과 2023-09-12 1902
1989 제주, 덜 익은 비상품 감귤 몰래 유통하려던 선과장 적발 1 기획정보과 2023-09-11 1795
1988 올해산 감귤값 ‘파란불’…부정 유통 막아야 1 기획정보과 2023-09-11 1481
1987 노지감귤 몸값 오르고 있다 1 기획정보과 2023-09-11 1478
1986 올해 제주산 노지감귤 생산량 45만2100톤 전망...제주시 착과량 뚝↓ 1 기획정보과 2023-09-04 1659
1985 감귤 열매까지 '쩍'.. 뜨거운 땅과 바다 1 기획정보과 2023-08-24 1688
1984 "산 함량 낮추는 관수 및 품질관리, 고품질 감귤 비율 높여" 1 기획정보과 2023-08-24 1665
1983 제주도, 풋귤에 농약 검사비·택배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8-18 1934
1982 제주 풋귤축제 1300명 몰리며 성료 1 기획정보과 2023-08-17 1696
1981 시설하우스에 집중된 FTA기금 감귤 지원사업, 이대로 좋은가 1 기획정보과 2023-08-14 1605
1980 "열매 더 맺히긴 했는데..." 고온다습 날씨 생육 영향 1 기획정보과 2023-08-07 174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