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6-08 09:26:05      ·조회수 : 3,115     

올해산 노지감귤의 품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개화기 저온현상으로 개화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각종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센터장 김명환)가 조사 발표한 과일관측 자료에 따르면 개화기 저온이 지속되면서 노지감귤의 최초 개화일과 만개일은 평년보다 각각 7일 늦은 지난 5월 14일과 5월 22일로 조사됐다.



올해 노지감귤의 꽃수는 해거리 현상이 있었던 작년보다 21%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올해산 노지감귤의 전체 생산량은 적정 생산량인 58만t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작년보다 29% 증가했고, 제주시가 겨울철 한파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4% 감소했다.



특히 제주 서부지역은 출뢰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이 짧아 꽃이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이처럼 평년보다 개화시가가 늦어지면서 생리낙과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6월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보되면서 더뎅이병 감염 위험이 높은 데다 강풍 등 기상 상황에 따라 궤양병 발생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1차 생리낙과가 진행되면서 검은점무늬병 1차 방제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관측센터는 이와 관련, “앞으로 1·2차 자연 낙과와 비대기 및 수확기 기상 여건에 따라 생산량 변화가 있겠지만 품질 관리를 위한 농가들의 세심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이 지난달 11일부터 20일까지 조사요원 336명을 동원해 도내 감귤원 457곳을 표본으로 화엽비를 조사한 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60만4000~64만8000t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적정 생산량 수준인 58만t과 비교하면 최소 4.1%, 최대 11.7% 많아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수치다.



문의 농촌경제연구원 과일과채관측팀 02-3299-4336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99 감귤 수출 확대 ‘맞손’…서귀포농협·해피푸드패밀리 업무협약 1 기획정보과 2023-10-12 1615
1998 감귤 수확 인부로 가장까지.. 도난 예방 특별 방범활동 1 기획정보과 2023-10-10 2137
1997 제주특별자치도,올해 하반기 노지 감귤 인력 1만 5천여 명 투입 예정 1 기획정보과 2023-10-06 1611
1996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으로 둔갑시킨 선과장 적발 1 기획정보과 2023-10-05 3174
1995 출하초기 단속으로 비상품감귤 유통 막는다 1 기획정보과 2023-10-05 2069
1994 노랗게 만들려고 가스까지…추석 앞두고 비상품 제주감귤 속출(종합) 1 기획정보과 2023-09-18 2085
1993 2023년산 제주 노지감귤 곧 출하…덜 익은 감귤 등 유통 단속 강화 1 기획정보과 2023-09-13 1785
1992 감귤 수확 못하면 어쩌나..일손 없어 '베트남 인력' 투입 1 기획정보과 2023-09-13 1375
1991 추석 앞 둬 제주 감귤 '비상품' 유통 속출…이미지 저하 우려 1 기획정보과 2023-09-13 1566
1990 제주시농협-㈜효성에너지팜 비상품 감귤 활용 상품개발 MOU 체결 [2023. 9. 4 월]| 1 기획정보과 2023-09-12 1840
1989 제주, 덜 익은 비상품 감귤 몰래 유통하려던 선과장 적발 1 기획정보과 2023-09-11 1731
1988 올해산 감귤값 ‘파란불’…부정 유통 막아야 1 기획정보과 2023-09-11 1419
1987 노지감귤 몸값 오르고 있다 1 기획정보과 2023-09-11 1419
1986 올해 제주산 노지감귤 생산량 45만2100톤 전망...제주시 착과량 뚝↓ 1 기획정보과 2023-09-04 1599
1985 감귤 열매까지 '쩍'.. 뜨거운 땅과 바다 1 기획정보과 2023-08-24 1626
1984 "산 함량 낮추는 관수 및 품질관리, 고품질 감귤 비율 높여" 1 기획정보과 2023-08-24 1599
1983 제주도, 풋귤에 농약 검사비·택배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8-18 1865
1982 제주 풋귤축제 1300명 몰리며 성료 1 기획정보과 2023-08-17 1622
1981 시설하우스에 집중된 FTA기금 감귤 지원사업, 이대로 좋은가 1 기획정보과 2023-08-14 1540
1980 "열매 더 맺히긴 했는데..." 고온다습 날씨 생육 영향 1 기획정보과 2023-08-07 167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