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4:37      ·조회수 : 2,249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한라일보 6/23
한미 FTA가 발효돼 감귤류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면 도내 감귤산업 피해액이 10년 동안 최대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감귤산업 발전방안 용역을 시행중인 제주대학교의 분석이다. 충격적인 보고서다. 감귤에 국한된 것도 아니다. 일반농업, 관광 등 타산업도 함께 몰락해 제주경제가 붕괴될지 모른다는 경고를 용역팀은 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제주도 당국이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자명해졌다. 뭔가를 하는 것처럼 시늉만 낼 단계가 아닌 것이다. 제주경제의 사활이 걸린 중대 사안이다. 우선 감귤을 협상 예외품목으로 관철시켜야 한다. 달리 대안이 없다. 정부와 적당히 타협할 생각은 접는 게 좋다. 정부가 미국에 한국의 농업을 일방적으로 양보하지 않도록 도 당국이 앞장서서 경각심을 줘야 한다. 뜻을 같이 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없지 않을 것이다.

 이른바 ‘민감품목’에 감귤이 지정되더라도 엄청난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 않은가. 감귤 뿐만 아니라 다른 농작물과 축·수산업 개방 피해도 정확한 분석과 예측이 시급하다. 감귤만 갖고 제주 농촌경제를 지탱할 수는 없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아프지 않은 손가락은 없다.

 도가 그제 발표한 ‘감귤산업 육성 로드맵’도 장밋빛 전망이 아닌 지 면밀히 재검검해볼 일이다. 감귤 조수입을 2010년에 1조원으로 늘리겠다는 구상을 농가들이 얼마나 현실성 있는 계획으로 받아들일는지 의문이다. 그렇게 발전시키는 것이 당연한 일이겠지만 검증되지 않은 발표로 자칫 FTA 대응에 초점이 흐려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도가 특히 잊지 말아야 할 것은 1차산업 발전대책을 마련함에 있어 감귤 따로, 일반농업·축산업·수산업 따로 제 각각 분산해 논의하기보다 제주의 농·수·축산업을 한 묶음으로 통합해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작물간 산업간 우선순위가 보다 명확해지고 이에 따라 산업의 재배치가 가능해진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8 고품질 생산만이 제주농업 살 길 관리자 2006-07-18 3135
197 농협 연합마케팅 '200억 달성' 관리자 2006-07-18 3339
196 제주 생명산업 감귤 '제외품목' 역량 집결 관리자 2006-07-18 3194
195 “농산물 관세철폐 5단계로 이행” 관리자 2006-07-18 2757
194 "비상품도 경쟁력 있다" 관리자 2006-07-13 3439
193 감귤박물관 관람 10만 돌파 …'인기짱' 관리자 2006-07-13 2879
192 감귤·화훼 등 선도농가 선정 품질 고급화 지원 본격 나서 관리자 2006-07-13 3386
191 이달의 작목반 서중감귤작목반 관리자 2006-07-13 3337
190 <사설> 왜 쌀만 나오고 감귤은 없나 관리자 2006-07-12 3119
189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관리자 2006-07-12 3703
188 감귤만 아닌 지역전체 위기 관리자 2006-07-12 2820
187 한·미FTA, 지역경제 붕괴 대재앙 우려 관리자 2006-07-12 3101
186 “하우스감귤값 강보합세 유지” 관리자 2006-07-11 2695
185 [경제화제/한라봉 이용 가공식품 개발·판매] 관리자 2006-07-11 3667
184 “감귤 등 1차산업 도미노 파산 우려" 관리자 2006-07-11 3038
183 “한미 FTA로 1차산업 붕괴” 관리자 2006-07-10 2928
182 감귤 개방예외 여부 ‘주목’ 관리자 2006-07-10 4115
181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관리자 2006-07-10 3002
180 제주지역 1차산업 발전을 위한 농정간담회 개최 관리자 2006-07-10 2250
179 감귤 농사 정보화로 ‘재미 톡톡’ 관리자 2006-07-10 31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