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도 제주산 농산물 북한 간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28 10:28:20      ·조회수 : 2,470     

<p></p>
<b><font size="5">올해도 제주산 농산물 북한 간다 </b></font>

<font size="4" color="blue">도, 남북협력도민운동본부 주관 감귤·당근 5000t계획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28 김태형 기자

북한의 핵실험 강행 등으로 한반도 주변 정세가 악화된 가운데 남북간 민간 교류의

물꼬를 텄던 감귤 등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사업이 올해에도 추진된다.

이에따라 중단 위기에 놓였던 제주발 남북교류 협력사업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지

만 중앙부처 협의 과정이 변수로 남아최종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7일 ㈔남북협력제주도민운동본부를 통해 매년 추진돼온 감귤

등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사업을 올해에도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감귤 등 북한보내기 사업은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째 계속됐으나 올해인 경우

지난 10월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남북교류가 장기 교착상태로 빠져들고 한반도 주

변 정세가 급속도로 악화되면서 중단 가능성도 점쳐졌다.

이에대해 제주도는 그동안 사업 추진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한 끝에 당초 사업 취

지가 순수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시작된데다 공종공영의 남북관계 정착에 기여하

는 점 등을 감안, 올해에도 사업을 추진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현재 검토되고 있는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사업은 감귤과 당근 등 2개 품목으

로, 남북협력제주도민운동본부 주관 하에 지난해 사업물량의 절반 수준인 5000t 정

도를 보낸다는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를위해 28일 통일부를 방문해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지원 절충에 나서

는 한편 사업량 등에 대해서도 협의할 예정이어서 제주발 남북교류 협력사업 향방

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지난해까지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사업 물량은 감귤 3만6228t, 당근 1만

3000t등 4만9228t으로 남북협력기금과 지방비, 성금 등 161억원이 투입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9 “감귤 예외품목 지정해야” 관리자 2006-07-19 3139
198 고품질 생산만이 제주농업 살 길 관리자 2006-07-18 3199
197 농협 연합마케팅 '200억 달성' 관리자 2006-07-18 3394
196 제주 생명산업 감귤 '제외품목' 역량 집결 관리자 2006-07-18 3261
195 “농산물 관세철폐 5단계로 이행” 관리자 2006-07-18 2840
194 "비상품도 경쟁력 있다" 관리자 2006-07-13 3500
193 감귤박물관 관람 10만 돌파 …'인기짱' 관리자 2006-07-13 2973
192 감귤·화훼 등 선도농가 선정 품질 고급화 지원 본격 나서 관리자 2006-07-13 3455
191 이달의 작목반 서중감귤작목반 관리자 2006-07-13 3439
190 <사설> 왜 쌀만 나오고 감귤은 없나 관리자 2006-07-12 3180
189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관리자 2006-07-12 3767
188 감귤만 아닌 지역전체 위기 관리자 2006-07-12 2895
187 한·미FTA, 지역경제 붕괴 대재앙 우려 관리자 2006-07-12 3177
186 “하우스감귤값 강보합세 유지” 관리자 2006-07-11 2758
185 [경제화제/한라봉 이용 가공식품 개발·판매] 관리자 2006-07-11 3730
184 “감귤 등 1차산업 도미노 파산 우려" 관리자 2006-07-11 3123
183 “한미 FTA로 1차산업 붕괴” 관리자 2006-07-10 2985
182 감귤 개방예외 여부 ‘주목’ 관리자 2006-07-10 4185
181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관리자 2006-07-10 3100
180 제주지역 1차산업 발전을 위한 농정간담회 개최 관리자 2006-07-10 233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