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겨울철 과일섭취의 다양한 방법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2-27 08:51:04      ·조회수 : 3,643     

겨울철 과일섭취의 다양한 방법은?
피로회복, 감기예방, 피부미용 등 과일이 가진 다양한 장점은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평소에도 과일 섭취는 필수적이지만, 특히 겨울철에는 감기 예방을 위해 비타민C가 풍부하게 함유된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식-식품 업계에서 간편하고 색다르게 과일을 즐길 수 있는 메뉴들을 선보여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겨울철 따뜻하게 즐기는 과일 라떼부터 생과일을 그대로 담은 젤리까지, 과일을 먹는 방법도 가지각색이다.

▶따뜻하게 즐기는 과일 음료, 스무디킹 리얼 후르츠 라떼

추운 겨울에 잘 어울리는 따뜻한 라떼를 이제 과일로 즐긴다. 스무디킹의 '리얼 후르츠 라떼'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개념의 따뜻한 과일음료다. 리얼 후르츠 라떼는 과일이 가진 영양소 섭취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드럽고 풍성한 우유거품이 먹는 재미를 더한다. 리얼 후르츠 라떼는 딸기, 포도, 애플, 망고, 레몬 등 총 5종으로 선보이고 있다. 특히 새콤한 맛이 살아있는 레몬 라떼는 비타민C가 풍부한 레몬이 들어있어 겨울철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다.

▶고급스럽게 간편하게 즐기는 과일

과일을 고급스럽게 즐기는 간편한 방법도 있다. 파리바게뜨에서 출시한 'PB 스타일 후르츠'는 투명하고 탱탱한 젤리 속에 생과일을 그대로 넣었다. 이 제품은 신선한 과일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데다 포도, 사과, 복숭아, 체리를 비롯해 열대 과일인 망고, 오렌지 총 6가지를 선보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투썸플레이스에서 선보인 생과일을 넣은 디저트 마카롱은 고급 프랑스 과자인 큰 사이즈의 마카롱 사이에 생크림과 함께 신선한 과일을 넣었다. 유럽스타일의 프리미엄 디저트인 '디저트 마카롱'은 엑조틱, 레드베리, 카라멜 3종으로 출시되었다.

▶생과일을 통째로 병에 담았다

풀무원 '생(生)잼' 또한 신선한 생과일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냉장잼이다. 생잼은 말 그대로 과일을 저온에서 살짝 끓인 후 보존료를 사용하지 않고 담아냈다. 생잼 스트로베리는 국산 딸기가 74% 사용되었고, 생잼 제주 감귤은 친환경 제주산 감귤을 75%나 함유하고 있다. 시판잼과 비교해 보면, 생과일 함량은 70% 이상 높고, 당 함량은 25% 낮아 과일 본래의 자연스러운 단맛과 생과일의 질감을 느낄 수 있다.

▶한 입에 쏙~ 먹는 생과일

버거킹은 간식으로 간편히 먹을 수 있는 디저트 메뉴 '후룻볼'을 선보이고 있다. 후룻볼은 달콤하고 상큼한 생과일이 고급스러운 간식메뉴로 특히 생과일을 한입에 먹을 수 있는 크기로 손질해 어디서든 먹기 편한 것이 장점이다.

스무디킹 브랜드전략팀 유선화 대리는 "과일이 가진 다양한 장점 때문에 현대인에게 과일은 빼놓지 말고 꼭 챙겨먹어야 할 필수 음식이 되었다"며 "특히 요즘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해진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해 업계에서 과일을 즐기는 새로운 방법을 많이 선보이고 있어 주목할 만 하다"고 전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9 “감귤 예외품목 지정해야” 관리자 2006-07-19 3116
198 고품질 생산만이 제주농업 살 길 관리자 2006-07-18 3148
197 농협 연합마케팅 '200억 달성' 관리자 2006-07-18 3347
196 제주 생명산업 감귤 '제외품목' 역량 집결 관리자 2006-07-18 3206
195 “농산물 관세철폐 5단계로 이행” 관리자 2006-07-18 2771
194 "비상품도 경쟁력 있다" 관리자 2006-07-13 3452
193 감귤박물관 관람 10만 돌파 …'인기짱' 관리자 2006-07-13 2899
192 감귤·화훼 등 선도농가 선정 품질 고급화 지원 본격 나서 관리자 2006-07-13 3399
191 이달의 작목반 서중감귤작목반 관리자 2006-07-13 3348
190 <사설> 왜 쌀만 나오고 감귤은 없나 관리자 2006-07-12 3129
189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관리자 2006-07-12 3714
188 감귤만 아닌 지역전체 위기 관리자 2006-07-12 2824
187 한·미FTA, 지역경제 붕괴 대재앙 우려 관리자 2006-07-12 3107
186 “하우스감귤값 강보합세 유지” 관리자 2006-07-11 2707
185 [경제화제/한라봉 이용 가공식품 개발·판매] 관리자 2006-07-11 3677
184 “감귤 등 1차산업 도미노 파산 우려" 관리자 2006-07-11 3054
183 “한미 FTA로 1차산업 붕괴” 관리자 2006-07-10 2936
182 감귤 개방예외 여부 ‘주목’ 관리자 2006-07-10 4131
181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관리자 2006-07-10 3013
180 제주지역 1차산업 발전을 위한 농정간담회 개최 관리자 2006-07-10 226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