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농협.감귤연합회 비파괴 선별기 효율운영 워크숍 개최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4-06 09:07:26      ·조회수 : 4,418     

제주농협.감귤연합회 비파괴 선별기 효율운영 워크숍 개최

제주농협(본부장 김상오)과 (사)제주감귤연합회(회장 강희철, 서귀포농협 조합장)는 거점산지 유통시설이 확대 추진되면서 시설 내 비파괴 선별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최근 서귀포거점 APC에서 전문가 초청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사)한국수확후관리협회 (회장 김종기, 중앙대학교 교수)가 주최하고 제주농협과 감귤연합회 주관으로 개최됐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제주농협 강덕주 부본부장의 ‘제주 감귤산업과 APC 운영 현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이강진 연구관의 ‘감귤 비파괴 선별기술 및 과제’, ▲(주)생명과 기술 이수희 기술이사의 ‘비파괴 선별기의 산지유통 운용 사례’, ▲상명대학교 양용준 교수의 감귤의 수확 후 관리‘에 대한 주제발표로 진행됐다.

강희철 회장은 이날 인사말에서 "농협에서도 산지유통혁신을 위해 막대한 자본을 들여 거점 APC를 건립하고 차별화된 감귤 출하를 위해 비파괴선별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산지의 유통 인프라를 확충해 나가고 있지만 고성능 선별기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어 오늘 이 자리를 마련하게 되었다."며 워크숍 개최 취지를 설명했다.

이강진 연구관은 주제발표에서 비파괴 선별기의 품질계측 원리, 과실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계측기술의 개발과정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또한 고가의 장비를 운영하면서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품종·생산지·재배조건·수확시기 등 다양한 조건을 반영한 당산도 판정모델 확보, ▲당도측정부의 표준화·규격화·자동영점조절기능 등의 추가, ▲정밀도 검사, 운영자의 교육훈련, 업체의 모델 보완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수희 박사도 발표에서 비파괴 당도 측정의 원리, 측정방식, 측정장치간 비교 설명이 있었고, 감자.단감.메론.배.복숭아.수박.홍삼 등 다양한 품목의 적용사례, 비파괴 당도 측정을 위한 센서 설치과정, 당도계 활용방안에 대한 발표했다.

농협관계자는 "거점 APC는 비파괴 당산선별 시스템을 근간으로 해 과학적인 품질관리를 실시함으로써 출하 브랜드의 마케팅 경쟁력을 강화, 농가 수취가를 제고하고 공동선별.공동출하 산지조직의 규모화로 산지 핵심 유통조직 육성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9 “감귤 예외품목 지정해야” 관리자 2006-07-19 3117
198 고품질 생산만이 제주농업 살 길 관리자 2006-07-18 3149
197 농협 연합마케팅 '200억 달성' 관리자 2006-07-18 3347
196 제주 생명산업 감귤 '제외품목' 역량 집결 관리자 2006-07-18 3207
195 “농산물 관세철폐 5단계로 이행” 관리자 2006-07-18 2772
194 "비상품도 경쟁력 있다" 관리자 2006-07-13 3453
193 감귤박물관 관람 10만 돌파 …'인기짱' 관리자 2006-07-13 2914
192 감귤·화훼 등 선도농가 선정 품질 고급화 지원 본격 나서 관리자 2006-07-13 3400
191 이달의 작목반 서중감귤작목반 관리자 2006-07-13 3348
190 <사설> 왜 쌀만 나오고 감귤은 없나 관리자 2006-07-12 3129
189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관리자 2006-07-12 3714
188 감귤만 아닌 지역전체 위기 관리자 2006-07-12 2826
187 한·미FTA, 지역경제 붕괴 대재앙 우려 관리자 2006-07-12 3107
186 “하우스감귤값 강보합세 유지” 관리자 2006-07-11 2707
185 [경제화제/한라봉 이용 가공식품 개발·판매] 관리자 2006-07-11 3678
184 “감귤 등 1차산업 도미노 파산 우려" 관리자 2006-07-11 3055
183 “한미 FTA로 1차산업 붕괴” 관리자 2006-07-10 2936
182 감귤 개방예외 여부 ‘주목’ 관리자 2006-07-10 4131
181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관리자 2006-07-10 3016
180 제주지역 1차산업 발전을 위한 농정간담회 개최 관리자 2006-07-10 226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