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패드(fad)의 추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0 09:32:34      ·조회수 : 3,173     


<b><font size=5>
패드(fad)의 추방 </font>

2007년 03월 20일 (화) 제주일보 <font size=3>


김기원 제주도립예술단 예술감독

끝없이 전해지는 갈등과 충돌 소식에, 떠도는 나그네가 되고 싶은 생각이 문득 문득 마음에 자리한다. 저마다 고향과 후손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을 두고는 있지만 민초들 중에서는 곧이곧대로 받아 들이기를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어떤 연유에서일까?

우리민족의 행동을 ‘냄비에 물을 끊는 것’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멀리 ‘국채보상운동’에서 시작하여 가까운 사례를 든다면 IMF때 전 국민의 ‘금 모으기’ 운동까지, 이를 보는 세계 사람들의 시선은 경악, 바로 그것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들의 생활 자세는 나라를 위하여 온몸을 던졌던 일치된 국민 행동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나만을 생각하는 사회로 치닫고 있다.

제주사회도 지금 냄비유형(?)인 패드시책으로 인해 심한 후유의 몸살을 앓고 있다.

패드(fad)는 일시적으로 떴다가 사라지는 유행을 말한다. 사전적 해석은 ‘변덕’이고, 영어에선 ‘craze-, 미치게하다 또는 발광하다’로 역시 반짝 유행을 의미하고 있다.

제주도 ‘패드적 사고‘의 후유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지금 줄을 이어 그 처방을 기다리고 있다.

너도 나도 돈이 된다 하여 심었고 이제 한미 FTA에 운명이 걸린 감귤, 해마다 홍역 치르듯 차질을 빚는 당근 양파 마늘의 생산과 유통, 유사 축제의 정리 등을 듣다보면 이는 소위 ‘된다는 곳’으로의 쏠림을 막지 못한데서 기인했고 해법은 방황 중이란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지금 우리는 국제자유도시 제주특별자치도를 어떻게 만들고자 생각하고 있는가. 오늘에 주어질 핑크빛 혜택을 위한 계획 수립에만 골몰하고 있지는 않은가? 과연 오늘에 기초를 두고 초석을 다져 먼 훗날 제주를 평화롭고 풍요롭게 번영시킬 대계(大計)를 세우고 있기는 한가?

지금 도민사회는 패드시책 추진의 시행착오 때문에 엄청난 예산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혼란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는 사실을 당국은 인식하고 있는가?

유행병처럼 만연한 시책수립과 추진을 감시하고 추방할 열린의식과 혜안이 절실한 시기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9 감귤 농사 정보화로 ‘재미 톡톡’ 관리자 2006-07-10 3209
178 감귤 특별대책위 “한·미 FTA 감귤 제외하라” 관리자 2006-07-10 2489
177 FTA기금 감귤시설사업 공사중단 속출 관리자 2006-07-07 3679
176 한미 FTA 감귤사수 “서명 10만명 넘었다” 관리자 2006-07-05 2790
175 감귤 수급사업 참여농가 급증 관리자 2006-07-05 2941
174 해상 냉장수송‘경쟁력 높다’ 관리자 2006-07-05 3575
173 올해 감귤 계약출하 109억원 증가 관리자 2006-07-05 2795
172 내리고 또 내리는 비, 농작물 관리 ‘비상’ 관리자 2006-07-05 2430
171 한라봉, 봉지씌우면 품질 좋아진다 관리자 2006-07-05 3319
170 감귤, 특별자치도 홍보역할 ‘톡톡’ 관리자 2006-07-03 2624
169 감귤랜드 민자유치 ‘제자리’ 관리자 2006-07-03 2869
168 "한미FTA 감귤예외 강력히 요청하겠다" 관리자 2006-07-03 2684
167 감귤 고열건조 규제 강화 관리자 2006-07-03 2801
166 “내용 알아야 의견 내놓지…” 관리자 2006-07-03 3164
165 “감귤 많이 먹으면 전립선암 억제” 관리자 2006-06-30 3192
164 한라봉’을 주스로…1.5ℓ등 3가지 출시 관리자 2006-06-29 3214
163 이용섭 행자장관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긍정적 검토" 관리자 2006-06-28 2720
162 “한라봉 열매솎기 일찍 하세요” 관리자 2006-06-28 2789
161 한-미 FTA협상 저지위한 10만인 서명 돌입 관리자 2006-06-27 2269
160 제주감귤 "사느냐 죽느냐" 기로에 관리자 2006-06-27 324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