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품목별 개방여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09 12:16:59      ·조회수 : 2,165     

<p></p>
<b><font size="5">감귤류 품목별 개방여부 ‘촉각’ </font></b>

<font size="4">감귤특별대책위, 생과·가공품 등 구체적 대책 마련 촉구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8 김태형 기자

다음달초 미국 몬태나주에서 열리는 한미 FTA 5차 협상이 농산물 관세개방안 협상

의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감귤류 품목별 향방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한미 FTA 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강지용)는 7일 오전 11시 도청 제2

청사 회의실에서 제7차 회의를 갖고 한미 FTA 5차 협상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했

다.

제주도는 이날 회의에서 이번 5차 협상에서는 농산물 분야와 관련, 품목별 개방시

기 등 양허범위에 대한 세부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특별긴급수입관세(SSG) 발동 범위와 함께 저율관세할당(TRQ) 운용방식에 있

어 우리 측의 관세율 및 물량 조정 여부도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이로볼때 지

난 4차 제주 협상에서 예외품목 지정을 건의한 감귤류도 구체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재 국제통일상품분류시스템 기준(HS 기준)에 따른 감귤류 협상 세부품목

중 생과인 오렌지와 맨더린인 경우 민감품목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지만 오렌

지쥬스와 농축액, 감귤류 잼·제리 등 가공류 품목에 대해서는 어떤 지위를 갖고 있는

지 파악되지 않아 불안한 실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도 일부 위원들은 “감귤류 생과에 대한 관세를 현행대로 유지하는 대

신 가공품에 대한 시장을 먼저 개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와 함께 “이

같은 위협요인을 막기 위해 품목별로 민감도를 파악하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위원들은 또 품목별로 구체화된 대책을 마련, 정부의 수정 개방안에 이를 반영시키

기 위한 중앙절충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9 제주경실련, “감귤을 예외품목으로 지정하라” 촉구 관리자 2006-06-27 3045
158 "감귤부터 우선 살리고 보자" 관리자 2006-06-26 2558
157 감귤산업 비전 헷갈린다 관리자 2006-06-26 2710
156 감귤거점유통센터 건립 탄력 관리자 2006-06-26 2249
155 고품질 감귤 생산교육 농가 호응 관리자 2006-06-26 2938
154 한미FTA 감귤피해 중앙-道 시각차 ‘뚜렷’ 관리자 2006-06-26 2402
153 지금일본은.. 감귤류등.. 농산물 품종보호에 앞장서고있다. 관리자 2006-06-23 3050
152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관리자 2006-06-23 2261
151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관리자 2006-06-23 2248
150 <사설>FTA 감귤피해액만 추산할 건가 관리자 2006-06-23 3177
149 감귤 재해복구비 단가 40% 상향조정 관리자 2006-06-23 2980
148 감귤정책 오락가락 관리자 2006-06-23 3394
147 감귤 등 불법반입 식물 급증 관리자 2006-06-22 2774
146 2010년 감귤 1조원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6-22 2650
145 [해설/韓美FTA 감귤예상 피해 및 대책] 관리자 2006-06-22 2588
144 감귤 왁스코팅 논란 재연 관리자 2006-06-22 2533
143 감귤 몰락은 제주사회 붕괴 관리자 2006-06-22 2592
142 “감귤 협상제외 10만인 서명운동 전개” 관리자 2006-06-22 2758
141 하우스 감귤 가격 '주춤' 관리자 2006-06-22 2870
140 한미FTA 발효 관세 철폐...감귤 붕괴 피해 최대 9조원 관리자 2006-06-22 268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