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전통 농·축식품유통공사 설립 필요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5-03 08:58:16      ·조회수 : 2,547     

전통 농·축식품유통공사 설립 필요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법인 대표

최근 A방송사에서 방송한 제주 10대 대안산업 중 청정 유기농산업은 필자가 2001년부터 언론을 통해 주장해 온 전통농업과는 내용이 일부 다르지만 공감하는 바가 많았다.

제주 전통 농식품은 유기농 식품과는 가치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방송사에서 건강산업 기획 으로 방영 된 것으로 보인다. 제주 전통 농식품은 연간 매출액 5000억원 규모의 기업을 유치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것은 물론 이에 따른 지역경제 효과는 1차 산업 개념으로는 재단하거나 계량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제주 청정 경제 발전 모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제주올레가 체육기능 관광이라면 제주 전통농업은 체육 기능농업이 될 것이다. 시대와 시장 변화에 따른 차별화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백년대계를 위한 제도 마련과 함께 제도 운영을 위한 가칭 ‘제주 전통 농·식품 유통 공사’ 설립을 우근민 도정에게 주문한다. 이것이 농축식품국 직제 개편에 따른 정책 방향이고 향토산업을 육성하는 바른 길이 아닌가 싶다.

제주감귤이 고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이유는 건강한 환경과 토양이 건강한 과수를 키우고 건강한 과수가 건강한 과일을 만든다는 자연의 순리를 무시한 결과이다.

선거 때 절반의 정치행동만 있었어도 지금 약자(농민·서민)의 고통을 덜 수가 있었을 텐데 유감스럽다. 녹색 없는 녹색성장, 동행 없는 동반성장, 공평 없는 공정사회, 순환 없는 상생, 복리 없는 복지 정책 등이 난무하고 있다.

작고 아름다운 제주 전통 농촌 풍경과 전통 농식품 문화가 제주의 품격과 경관에 보탬이 될 텐데 관심 부족이 아쉽다. 제주 감귤산업이 실패가 두려워 변화에 도전하지 못하고 남의 길만 따라가면 제주 농업인은 감귤을 생산하고도 대자본의 유통 마케팅에 놀아나는 결과를 자초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9 제주경실련, “감귤을 예외품목으로 지정하라” 촉구 관리자 2006-06-27 3041
158 "감귤부터 우선 살리고 보자" 관리자 2006-06-26 2556
157 감귤산업 비전 헷갈린다 관리자 2006-06-26 2710
156 감귤거점유통센터 건립 탄력 관리자 2006-06-26 2249
155 고품질 감귤 생산교육 농가 호응 관리자 2006-06-26 2937
154 한미FTA 감귤피해 중앙-道 시각차 ‘뚜렷’ 관리자 2006-06-26 2401
153 지금일본은.. 감귤류등.. 농산물 품종보호에 앞장서고있다. 관리자 2006-06-23 3050
152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관리자 2006-06-23 2261
151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관리자 2006-06-23 2247
150 <사설>FTA 감귤피해액만 추산할 건가 관리자 2006-06-23 3176
149 감귤 재해복구비 단가 40% 상향조정 관리자 2006-06-23 2975
148 감귤정책 오락가락 관리자 2006-06-23 3392
147 감귤 등 불법반입 식물 급증 관리자 2006-06-22 2774
146 2010년 감귤 1조원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6-22 2650
145 [해설/韓美FTA 감귤예상 피해 및 대책] 관리자 2006-06-22 2588
144 감귤 왁스코팅 논란 재연 관리자 2006-06-22 2533
143 감귤 몰락은 제주사회 붕괴 관리자 2006-06-22 2591
142 “감귤 협상제외 10만인 서명운동 전개” 관리자 2006-06-22 2758
141 하우스 감귤 가격 '주춤' 관리자 2006-06-22 2870
140 한미FTA 발효 관세 철폐...감귤 붕괴 피해 최대 9조원 관리자 2006-06-22 268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