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8 09:49:53      ·조회수 : 2,239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한라일보 2006년 04월 28일
감귤원 간벌 실적이 저조하다. 간벌 참여 농가들을 위해 각종 인센티브까지 내걸고 있지만 제주도와 시·군이 정한 간벌 목표량에 크게 못미치는 상황이다. 뭔가 크게 잘못돼 가고 있는 것이다.

 올해 2분의 1 간벌 계획 면적은 도 전체적으로 1천70ha다. 하지만 추진 실적은 6백여ha에 불과하다. 시·군별 추진실적도 55∼58% 수준으로 거의 비슷하다. 어느 특정지역을 탓할 상황이 아닌 것이다.

 당국은 간벌 실적이 이처럼 저조한 이유가 지난 2년간 감귤가격이 비교적 좋았던 관계로 올해에도 그러지 않겠느냐는 기대심리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런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닐 것이다.

 당국이 먼저 솔직해져야 한다. 자치단체가 펼치는 정책에 농가가 따르기만 하면 제값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 답할 때가 됐다는 뜻이다. 한계가 있다면 그 한계를 가감없이 드러내야 한다. 그래야 농가들이 자구책을 마련할 것이 아닌가.

 감귤은 생명산업이므로 무조건 살리겠다고 말만 앞세울 일이 아니다. 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일과 불가능한 일을 분명히 구분짓고 농가의 몫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도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당국이 일방적으로 감산 목표를 정해놓고 실적이 부진하면 농가 탓으로 돌리는 풍토도 개선해야 한다. 희생도 공평한 부담일 때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무임승차 농가가 있다면 그에 따른 불이익이 더 크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과감함도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간벌을 비롯한 관주도의 감귤생산량 감축 정책에 농가들의 전폭적인 신뢰가 따르지 않는 이유를 정확히 진단하고 감귤정책 전반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 자치단체가 감귤가격을 전적으로 책임지지도 않는 현실 아닌가.

 농가들도 이제는 고통을 함께 분담하고 과실도 더불어 누리는 ‘공생’을 생각해야 한다. 당국의 일이 있고, 농가가 할 일이 있다. 감귤의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8 감귤유통업체 지원 확대 관리자 2006-06-01 3400
97 감귤자조금사업 20억 승인 관리자 2006-06-01 3222
96 [농수산] 하우스 감귤 생산 줄 듯 관리자 2006-06-01 3043
95 남원농협, 한라봉농가 대상…GAP 사업설명회 개최 관리자 2006-06-01 3249
94 하우스감귤 면세유 배정기준 재검토 관리자 2006-06-01 2956
93 외국산 오렌지·포도 수입 증가 관리자 2006-06-01 3120
92 “고품질 1등 과일 원년’ 기록” 관리자 2006-05-30 2724
91 감귤 육성 로드맵 마련된다 관리자 2006-05-30 2922
90 감귤조수입 3년 연속 6천억 달성에 '도전' 관리자 2006-05-30 2984
89 올 노지감귤 생산 ‘작년 수준’ 관리자 2006-05-30 2575
88 FTA의 본질과 우리의 선택 관리자 2006-05-30 2576
87 드러난 미국측 ‘한·미FTA 협정문 초안’ 관리자 2006-05-29 2963
86 최고품질 감귤 시범지역 조성 관리자 2006-05-29 3153
85 근래 감귤원에는........... 관리자 2006-05-29 2950
84 북군, 129농가에 감귤 토양피복 재배 지원 관리자 2006-05-29 2490
83 하우스감귤 ‘순조로운 출발’ 관리자 2006-05-25 2776
82 ‘감귤 닭고기’ 나온다 관리자 2006-05-25 2776
81 [일본]열대감귤질병 유전자진단 단시간에 판명 관리자 2006-05-24 3015
80 감귤 조수입 8000억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5-24 4902
79 FTA기금 신규사업 확대지원 건의 관리자 2006-05-23 24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