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감귤원 간벌 남의 일인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6 10:03:45      ·조회수 : 2,868     


<b><font size=5>
[사설]감귤원 간벌 남의 일인가 </font>

2007년 03월 05일 (월) 제민일보 <font size=3>

감귤원 간벌사업이 갈수록 시들해지고 있다. 행정당국이 나서서 적극 독려해보지만 일부 농가들은 들은 체도 하지 않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신청된 감귤원 간벌 면적은 557.8㏊에 머물고 있다. 올해 목표 물량 1000㏊의 57.8%에 불과한 것이다. 감귤농민들이 당면한 간벌사업을 얼마나 외면하고 있는지를 극명하게 대변해주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간벌 신청량 뿐만 아니라 실제 간벌 실적마저 크게 저조하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지난달 현재 도내 간벌 실적은 제주시 70.2㏊와 서귀포시 141.1㏊에 그치고 있다. 당초 간벌 목표 물량의 21.1%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 목표 달성은 어림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감귤농민들이 간벌을 기피하는 이유는 뻔하다. 최근 2년동안 감귤가격이 그런대로 안정을 되찾았기 때문이다. 개구리가 올챙이 시절을 잊어버리듯, 과잉생산으로 가격폭락했던 과거의 상처를 어느새 까마득히 잊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감귤농가들이 최근의 감귤가격 호조에 현혹돼 간벌에 동참하지 않는다면 어찌될 것인가. 또다시 가격파동을 맞게될 것이다. 과잉생산에다 불량감귤 유통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그러잖아도 2007년산 감귤은 벌써부터 과잉생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금의 전망대로 감귤농사가 대풍을 이루게 된다면 가격폭락은 불보듯 훤한 일이다. 그래서 그 어느때 보다도 감귤원 간벌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감귤원 간벌로 맛있는 우량감귤만을 적정 생산해낸다면 당연히 감귤가격은 오르게 마련이다. 이같은 상식을 누구보다도 더 잘아는 농민들이 간벌에 적극 동참하지 않는 것은 웬 까닭인가. ‘무임승차’를 노리거나, 다 차려놓은 밥상에 수저만 들려는 얌체같은 심보가 아니던가. 감귤원 간벌은 가격회복을 위한 농민생존운동이라는 사실을 재삼 인식해야할 것이다</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9 감귤간벌 추진 평가, 중문동 최우수 선정 관리자 2006-06-01 2916
98 감귤유통업체 지원 확대 관리자 2006-06-01 3401
97 감귤자조금사업 20억 승인 관리자 2006-06-01 3226
96 [농수산] 하우스 감귤 생산 줄 듯 관리자 2006-06-01 3048
95 남원농협, 한라봉농가 대상…GAP 사업설명회 개최 관리자 2006-06-01 3253
94 하우스감귤 면세유 배정기준 재검토 관리자 2006-06-01 2960
93 외국산 오렌지·포도 수입 증가 관리자 2006-06-01 3124
92 “고품질 1등 과일 원년’ 기록” 관리자 2006-05-30 2726
91 감귤 육성 로드맵 마련된다 관리자 2006-05-30 2929
90 감귤조수입 3년 연속 6천억 달성에 '도전' 관리자 2006-05-30 2987
89 올 노지감귤 생산 ‘작년 수준’ 관리자 2006-05-30 2578
88 FTA의 본질과 우리의 선택 관리자 2006-05-30 2576
87 드러난 미국측 ‘한·미FTA 협정문 초안’ 관리자 2006-05-29 2967
86 최고품질 감귤 시범지역 조성 관리자 2006-05-29 3155
85 근래 감귤원에는........... 관리자 2006-05-29 2954
84 북군, 129농가에 감귤 토양피복 재배 지원 관리자 2006-05-29 2493
83 하우스감귤 ‘순조로운 출발’ 관리자 2006-05-25 2781
82 ‘감귤 닭고기’ 나온다 관리자 2006-05-25 2779
81 [일본]열대감귤질병 유전자진단 단시간에 판명 관리자 2006-05-24 3023
80 감귤 조수입 8000억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5-24 490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