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민일보][사설]유통명령, 감시수단일 뿐이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10-26 11:17:07      ·조회수 : 3,692     

<b><font size=3>[사설]유통명령, 감시수단일 뿐이다 </font></b>


올해산 노지감귤 유통명령제가 어제부터 시행중이다. 내년 3월말까지 비상품감굴에 대한 단속망을 전국 도매시장에서 가동할 수 있게 됐다. 저품질 및 불량감귤 유통을 예방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되면서 감귤이미지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통명령제는 도내 감귤관련기관은 물론 생산농가들이 요청한 일이다. 과잉생산이 예상되면서 불량감귤이 전에없이 판칠지 모른다는 우려가 강하게 작용했다. 이러지않고서는 전국적으로 퍼져나가는 불량감귤 단속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전국상대 감귤유통명령제는 다섯번째 연속 발령되고 있다. 그때마다 감귤가격은 안정세를 유지, 호가를 낳는 결과로 이어진게 사실이다. 불량과일 차단이 곧 이미지 및 소비심리 향상, 나아가 소득향상으로 연결됐다고 볼 수 있다. 농가들이 명령제에 떼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다고 유통명령제를 감귤농사의 해결사처럼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 생산농가와 소비자들에게 도움되는 제도임에는 틀림없지만 단기적 목적처방에 불과하다. 수년째 이어진 유통명령제에다 도내 감귤농가들의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유통명령제가 비상품 판매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감귤산업에 독으로 다가설 수도 있는 법이다. 유통명령제의 단맛에 빠져 생산농가가 추구해야할 품질승부에 게을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유통명령제는 감시수단이지 생산수단이 아니다. 품질경쟁력 확보는 게을리한채 불량상품 차단으로 이어가는 소득향상 유지방법은 감귤농가가 추구해야할 종점이 결코아니다. 제주감귤은 정정당당한 질적 경쟁력을 갖추는게 급선무다. 그래야 자유무역협정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다. 알고있으면 실천해야 한다.

2007년 10월 25일 (목)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9 감귤간벌 추진 평가, 중문동 최우수 선정 관리자 2006-06-01 2916
98 감귤유통업체 지원 확대 관리자 2006-06-01 3401
97 감귤자조금사업 20억 승인 관리자 2006-06-01 3226
96 [농수산] 하우스 감귤 생산 줄 듯 관리자 2006-06-01 3048
95 남원농협, 한라봉농가 대상…GAP 사업설명회 개최 관리자 2006-06-01 3253
94 하우스감귤 면세유 배정기준 재검토 관리자 2006-06-01 2960
93 외국산 오렌지·포도 수입 증가 관리자 2006-06-01 3124
92 “고품질 1등 과일 원년’ 기록” 관리자 2006-05-30 2726
91 감귤 육성 로드맵 마련된다 관리자 2006-05-30 2929
90 감귤조수입 3년 연속 6천억 달성에 '도전' 관리자 2006-05-30 2987
89 올 노지감귤 생산 ‘작년 수준’ 관리자 2006-05-30 2578
88 FTA의 본질과 우리의 선택 관리자 2006-05-30 2576
87 드러난 미국측 ‘한·미FTA 협정문 초안’ 관리자 2006-05-29 2967
86 최고품질 감귤 시범지역 조성 관리자 2006-05-29 3155
85 근래 감귤원에는........... 관리자 2006-05-29 2954
84 북군, 129농가에 감귤 토양피복 재배 지원 관리자 2006-05-29 2493
83 하우스감귤 ‘순조로운 출발’ 관리자 2006-05-25 2781
82 ‘감귤 닭고기’ 나온다 관리자 2006-05-25 2779
81 [일본]열대감귤질병 유전자진단 단시간에 판명 관리자 2006-05-24 3023
80 감귤 조수입 8000억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5-24 490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