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개방 안 된다”…삭발 투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9 15:22:13      ·조회수 : 2,618     

<b><font size=5>

“감귤 개방 안 된다”…삭발 투쟁 </font><font size=3 color=blue>

김태환 지사‘감귤류 계절관세’ 강력 반발 </font>

2007년 03월 27일 (화) 김승종 기자 <font size=3>

한미FTA협상 타결을 위한 최종 고위급 회담이 26일부터 개최됨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와 도의회, 생산자단체가 감귤산업 사수를 위해 강력한 투쟁에 나섰다.

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지사와 양대성 도의회의장, 현홍대 농협지역본부장을 비롯한 일선 단위농협장, 강지용 한미FTA대책위원장 및 위원 등은 이날 오전 10시 도청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FTA협상에서의 감귤류 제외를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김 지사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한미FTA협상이 막바지에 이른 지금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류에 대해 계절관세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은 청천벽력이 아닐 수 없다”며 “감귤류에 계절관세를 적용할 경우 만감류 등 시설감귤 몰락은 자명한 일이고, 이로 인해 노지감귤 등 감귤산업 전반이 연쇄 붕괴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감귤류 계절관세를 어떠한 일이 있어도 수용할 수 없으며 도민들이 온 몸으로 저지할 수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이들은 또 “제주도민은 제주의 생존권 확보를 위해 한미FTA협상에서 감귤류가 반드시 육지부의 쌀과 대등하게 협상품목에서 제외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이들은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은 지역경제 붕괴를 의미하며 제주의 민심을 도외시하는 처사로 볼 수밖에 없다”며 “제주도민은 한미FTA에서 감귤이 쌀과 대등하게 협상되는 것 이외에는 어떤 내용도 받아들일 수 없으며 끝까지 사력을 다해 투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 후 현 본부장과 강 위원장을 비롯 일선 농·감협장 등 8명이 삭발, 감귤산업 사수를 위한 제주도민들의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한편 제주도와 대책위는 이 같은 제주도민들의 입장을 정부와 한미FTA 고위급 회담 대표단에 전달키로 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9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관리자 2006-05-02 2718
38 [수입오렌지]다국적청과기업 등 관리자 2006-04-28 3049
37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관리자 2006-04-28 2267
36 토양피복 재배 감귤농가 일반농가보다 소득 높아 관리자 2006-04-28 2266
35 맥 못추는 제주감귤 "어쩌나" 관리자 2006-04-28 3862
34 “감귤육종연구소 설립해야” 관리자 2006-04-27 2387
33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관리자 2006-04-27 2577
32 감귤원 1/2간벌 “힘드네” 관리자 2006-04-27 2296
31 감귤 ‘돌연변이 육종’ 논란 관리자 2006-04-27 2915
30 감귤 생산예상량 조사 수정 검토 관리자 2006-04-27 2807
29 올해산 하우스감귤 첫 수확 관리자 2006-04-27 2270
28 감귤소비량 가구당 연 222개 관리자 2006-04-26 3920
27 감귤 천혜향 소비자 입맛 사로잡다 관리자 2006-04-25 2568
26 감귤유통명령제 후 비상품과 유통 차단 ‘값 안정’ 관리자 2006-04-24 3337
25 도순동 감귤원 일대 친환경농업지구 지정 관리자 2006-04-24 2909
24 한라봉, 캐나다 수출길 오른다 관리자 2006-04-21 2396
23 감귤 생산예상 관측시스템 ‘허점’ 관리자 2006-04-21 2777
22 한라봉 무농약재배 최경석씨 〈남제주 대정〉 관리자 2006-04-21 3279
21 역시 최고감귤 ‘불로초’ 관리자 2006-04-20 3969
20 감귤 유통명령제, 값안정 ‘기여’…2002년보다 가격 2배 관리자 2006-04-19 322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