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한·미 FTA’ 충격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9 10:03:57      ·조회수 : 2,528     

감귤산업 ‘한·미 FTA’ 충격파
발효시 10년간 조수입만 1조 감소
제주일보 5/9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로 10년에 걸쳐 수입오렌지 관세가 완전 철폐될 경우 이에따른 감귤 조수입의 직접 피해액이 무려 1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산됐다.

제주도 의뢰로 ‘한·미 FTA 협상 등에 따른 감귤산업의 영향분석’을 용역 중인 고성보 제주대 교수는 8일 도청에서 열린 감귤특별대책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이같이 내용의 중간 용역 결과를 밝혔다.

중간 조사 결과 한·미 FTA 협상이 타결, 발효돼 현재 50%와 54%인 오렌지와 농축액 수입 관세가 10년에 걸쳐 완전 감축될 경우 10년간 순수 감귤 조수입 피해액은 1조 124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기간 도내 감귤 재배면적은 2만 2000㏊에서 1만 5000㏊로 32% 줄어들고 신선 오렌지와 농축액 수입 물량은 15만 4000t, 3만 9000t에서 38만t, 7만t으로 각 147%, 79% 폭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용역 연구책임자인 고성보 교수는 “한·미 FTA가 2008년부터 발효돼 2017년 관세가 없어지는 시나리오에서는 감귤 농가 판매가도 40% 이상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또 오렌지와 농축액 수입 관세 철폐 시한이 5년으로 앞당겨질 경우 발효 이후 10년간 감귤 조수입 피해액은 1조 6878억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아울러 관세 철폐 시한이 15년과 20년으로 늦춰질 경우 피해액은 각 7686억원, 5833억원으로 다소나마 완화되지만 연간 감귤 조수입에 이르는 피해가 예상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더욱이 이번 잠정 피해 예상치에는 감귤관련 서비스업과 제조업, 가공업, 유통업 등의 연관산업 피해는 물론 고용 분야의 영향 분석이 포함되지 않아 실제 피해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허인옥 제주대 명예교수는 “제주인 경우 산업구조상 다른 지역과 달리 한·미 FTA로 실업자로 전락할 감귤산업 고용 인력을 수용할 수 있는 업종이 없다는 게 문제”라고 피해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 ‘제주 아침하늘’ 감귤 기대하세요 관리자 2006-04-17 3099
17 제주 감귤<->강원 쌀 본격 교류 관리자 2006-04-17 2953
16 조선시대 임금에게 진상된 재래귤나무 관리자 2006-04-13 3076
15 감귤 계약출하 규모 5만톤 관리자 2006-04-13 2843
14 박지웅 제주감귤 전문브랜드 '통통' 대표 관리자 2006-04-13 3000
13 "올 감귤자조금 10억 조성" 관리자 2006-04-13 2394
12 감귤 육종연구소 신설 6월께 판가름 관리자 2006-04-13 2810
11 올해산 감귤 계약 출하물량 소폭 확대 ... 관리자 2006-04-13 2447
10 구리제+기계유유제 혼합살포... 감귤 구리피해 확줄인다 관리자 2006-04-12 4192
9 감귤비가림시설 신청농가 75% 탈락 관리자 2006-04-12 2673
8 [한국농어민(06.03.23)]유통명령제의 "힘"... 감귤값 최악 모면 관리자 2006-03-29 2474
7 [유통기사]저장과일 가격 ‘우울’ 관리자 2006-03-22 2543
6 [세계일보]먹다 남은 감귤...피부에 주자..!! 관리자 2006-02-08 2526
5 [보도]감귤 가격 안정 유지 위한 대책회의 개최 관리자 2006-02-07 2510
4 [기고]감귤가격의 고공행진 끝까지 지키는 노력을... 관리자 2006-02-07 2604
3 [보도]인터넷쇼핑몰을 통한 비상품 감귤 유통 행위 적발 관리자 2006-01-04 2703
2 [보도]양심을 저버리는 비상품감귤 출하 이제는 그만 관리자 2005-10-06 2497
1 '세토까' 상품명…'천혜향'으로 통일 관리자 2005-09-22 266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