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0 09:12:54      ·조회수 : 2,558     

<p></p>
<font size="5">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font>
<p></p>
<font size="4" color="#857375">지자체 대북협력사업 줄줄이 중단 위기</font>
<font size="3">제민일보 10/9
<p></p>
북한의 핵무기 실험 강행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중인 대북협력사업이 중단

될 위기를 맞고 있다. 통일부가 인도적 지원마저 중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다

남북간의 긴장관계가 최고조에 이른 상황에서 대북지원을 강행하면 비판여론이 들

끓을 게 우려되기 때문이다.

◇지자체 대북지원 중단 선언=경기도는 9일 북한과 공동으로 추진해온 농촌현대화

사업을 잠정 중단키로 했다. 도는 이날 성명을 내고 "대북협력사업과 관련한 신규 물

자 지원을 전면 보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2008년까지 마을 진입

로 확·포장,진료소 신축,도정공장 신축,학교 및 유치원 신증축 등 새마을운동과 같

은 형태의 북한농촌 현대화사업을 벌일 게획이었다. 경기도는 그동안 콤바인과 이앙

기,트랙터 등 각종 농기계와 시멘트,철근 등 각종 건설자재 등 모두 40억원 상당의

물품과 연인원 100여명의 기술진을 북한에 보냈다. 현재 도정공장 신축을 위해 파견

된 민간인 1명이 북한에 체류중이다.

감귤 보내기 운동을 8년째 이어온 제주도민들의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도 중단될 가

능성이 커졌다. 제주도민들은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감귤 8000여t,당근 1만3000여t,

목초 종자 2t,의약품,수해복구 자재 등 100억원 상당을 북한 동포들에게 보냈다. 올

해도 감귤 1만t 지원 방침을 정하고 다음달 북측과 구체적인 지원 일정 등을 협의할

예정이었다.

부산시는 지난해 9월부터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했으나 이를 무기

한 연기하기로 했다. 시는 당초 이달중 조례안을 마련해 시의회에 상정한 뒤 이르면

올 연말부터 남북교류협력기금 마련 등 대북지원사업에 나설 예정이었다.

전북 전주시가 추진하는 전북 농산물과 북한 한약재 물물교환 사업도 위축될 전망이

다. 전주시는 대북교류사업의 내년도 예산으로 8000만원을 반영,남북교류와 의료봉

사 등을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동계올림픽 유치와 세계 진출 전략에 찬물=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추진중인

강원도 역시 북한의 핵무기실험 강행으로 큰 충격에 빠졌다. 북핵 위기가 장기화할

경우 내년 2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현지 실사 때 안전성 측면에서 경쟁 도시

보다 낮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강원도는 또 올 초 분단 이후 최초로 남북아이스하키 친선경기를 개최하는 등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남북 협력사업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2000년부터 금강산 솔잎

혹파리 공동방제,금강산 연어부화 사업,강원도 민속축전 등 대북협력사업을 지속적

으로 추진해왔다.

충남도가 추진중인 금산인삼과 개성인삼의 '고려인삼 브랜드화' 사업도 어긋나게 됐

다. 충남도는 금산인삼엑스포를 계기로 남북협력사업의 하나로 남한의 대표적 인삼

인 금산인삼과 북한의 대표 인삼인 개성인삼을 합해 '고려인삼'으로 브랜드화함으로

써 세계시장을 석권한다는 계획을 세웠었다. 충남도 관계자는 "검증된 인삼 기술과

종묘를 북측에 제공하는 등 상호 연계를 통해 상생을 넘어 세계 최고의 자리를 지

킬 수 있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font>

<b>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 제주감협, 감귤 순회교육 관리자 2006-04-19 3141
18 ‘제주 아침하늘’ 감귤 기대하세요 관리자 2006-04-17 3102
17 제주 감귤<->강원 쌀 본격 교류 관리자 2006-04-17 2958
16 조선시대 임금에게 진상된 재래귤나무 관리자 2006-04-13 3080
15 감귤 계약출하 규모 5만톤 관리자 2006-04-13 2849
14 박지웅 제주감귤 전문브랜드 '통통' 대표 관리자 2006-04-13 3005
13 "올 감귤자조금 10억 조성" 관리자 2006-04-13 2395
12 감귤 육종연구소 신설 6월께 판가름 관리자 2006-04-13 2822
11 올해산 감귤 계약 출하물량 소폭 확대 ... 관리자 2006-04-13 2451
10 구리제+기계유유제 혼합살포... 감귤 구리피해 확줄인다 관리자 2006-04-12 4196
9 감귤비가림시설 신청농가 75% 탈락 관리자 2006-04-12 2675
8 [한국농어민(06.03.23)]유통명령제의 "힘"... 감귤값 최악 모면 관리자 2006-03-29 2480
7 [유통기사]저장과일 가격 ‘우울’ 관리자 2006-03-22 2545
6 [세계일보]먹다 남은 감귤...피부에 주자..!! 관리자 2006-02-08 2532
5 [보도]감귤 가격 안정 유지 위한 대책회의 개최 관리자 2006-02-07 2518
4 [기고]감귤가격의 고공행진 끝까지 지키는 노력을... 관리자 2006-02-07 2609
3 [보도]인터넷쇼핑몰을 통한 비상품 감귤 유통 행위 적발 관리자 2006-01-04 2705
2 [보도]양심을 저버리는 비상품감귤 출하 이제는 그만 관리자 2005-10-06 2498
1 '세토까' 상품명…'천혜향'으로 통일 관리자 2005-09-22 266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