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민감품목 지정, 최대한 지킬 것"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1 10:18:53      ·조회수 : 2,172     

▲ 홍영표 한·미 FTA 지원단장이 10일 제주특별자치도청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p></p>
<b><font size="5">"감귤 민감품목 지정, 최대한 지킬 것" </font></b>
<p></p>
<font size="4" color="857375">"한미FTA체결지원단 홍영표 단장 11일 제주서 기자회견</font>
<font size="3">제민일보 10/10 박미라 기자

대통령 직속 한미FTA체결지원단 홍영표 단장이 한미FTA 4차 협상 개최지로 결정

된 제주를 방문, 11일 오전 10시 도청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감품목으

로 제주감귤을 지정, 미국대표단에게 제주의 입장을 최대한 알리겠다는 입장을 밝혔

다.

홍영표 단장은 “국제회의 경험이 많을뿐더러 국제자유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특별자

치도가 되는 등 제주의 노력을 감안, 제주를 한미FTA 4차 협상 장소로 선정하게 됐

다”며 “또한 선정과정에서 많은 감귤농가들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제

주에서 한미FTA 4차 협상이 열리는 만큼 감귤문제를 미국대표단에 최대한 알리고,

좀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계기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미FTA 4차 협상 과정에서 반대시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최근

평화적 시위에 대한 공감대가 높아진 만큼 시애틀 협상때와 같이 제주에서도 평화적

인 시위가 이뤄지길 바란다”며 “이번 4차 협상때 제주방문 인원은 통상 일주일전 미

국으로부토 통보받기 때문에 현재 정확한 규모는 모르나 지난 협상을 고려하면 미

국 100명, 한국 200명, 기자단 100명 정도가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정부측 입장

을 밝혔다.

다음은 1문 1답.

Q. 감귤문제를 미국대표단에게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가. 수많은 품목 중 감

귤만 알린다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A. 1만여개 품목을 협상하는 가운데 특정품목을 미국대표단에게 알리는 게 쉽지 않

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제주에서 감귤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민감하므로

대표단에게 제주 현안을 전달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

미국과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지만 반드시 4차 협상과정에서 제주도민을 대표하는

도지사, 혹은 도의회 의장 등과 미국대표단을 만나게 하도록 하겠다는 정부 방침이

다.
Q. 4차협상 개최지로 제주를 결정한 이유는?

A. 지난 1·2차 협상을 수도에서 했기 때문에 3·4차 협상은 지방에서 하는 것이 원칙

이었다. 많은 지방도시 중 제주는 대규모 국제회의를 치른 경험 등 인프라, 환경적

인 측면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했다. 한미FTA 협상을 반대하는 것과 협상장소와는

다른 문제라고 생각한다. 감안해주길 바란다.

제주 개최에 특별한 이유는 없었다.

Q. 감귤품목에 대한 정부의 정확한 입장을 밝혀달라. 쌀과 같이 예외품목이 될 수

없는가.

A. 민간품목에도 아예 협상테이블에서 제외, 혹은 단계적인 관세철폐 등 다양하게

있다.

이미 김종훈 한미FTA수석대표가 감귤은 민감품목에 포함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이처럼 공식적으로 특정품목을 지칭해서 이야기한 품목은 (쌀 이외의)감귤밖에 없

다. 민감품목으로 분류하겠다는 언급은 큰 의미가 있고,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다만 현재 미국대표단은 쌀을 포함해 예외 없는 농산물 개방을 주지하고 있고, 정부

측은 민감한 문제인 쌀만큼은 예외로 하겠다는 입장이다.

Q. 평화적인 시위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밝혀달라

A. 평화적인 시위로 불상사 없이 협상이 끝나길 바란다.

현재 제주에서 한미FTA 협상장과 근접한 거리인 중문관광단지 내부에서 시위를 막

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 그러나 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근접거리, 시민의 안

전·불편이 초래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시위를 허용해왔고, 시위도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나 주무부서는 경찰이므로 현재 제주상황에 대해 시위를 허용하라고 당장 언급

하기는 어렵다.

</font>

<b>"감귤 민감품목 지정, 최대한 지킬 것" </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59 제주감귤, 3高 위기 속 조수입 1조원 돌파...'역대 최고 성과' 1 기획정보과 2023-06-26 2456
1958 제주 감귤산업 현안, 어떻게 풀어야 하나 1 기획정보과 2023-06-23 2312
1957 제주시농협 전문생산단지 최우수 평가 1 기획정보과 2023-06-23 2478
1956 여름철 재해 대응 농작물 안전관리 추진 1 기획정보과 2023-06-22 3077
1955 “제주감귤, 규격 외 상품 가공·수출 방안 찾아야” 1 기획정보과 2023-06-21 2823
1954 공영홈쇼핑, 4만원대 '농협과일맛선' 론칭…"6종류 엄선" 1 기획정보과 2023-06-21 2012
1953 감귤농축액 품질 개선 노력 얼마나 했나 1 기획정보과 2023-06-21 2026
1952 제주, 노지감귤 '근역제한재배' 도입 추진...생산비 절감 기대 1 기획정보과 2023-06-21 1992
1951 제주산 신선농산물 수출시장 동남아 등 다변화 주력 1 기획정보과 2023-06-21 1701
1950 [독자기고]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노력하자 1 기획정보과 2023-06-19 1623
1949 [시론담론] 감귤은 우리의 것 1 기획정보과 2023-06-19 2426
1948 제주도의회, 감귤가공사업 정책 확대 주문 1 기획정보과 2023-06-16 1923
1947 서귀포시, 만감류 등 열매 언 피해 지원 보상금 지급 1 기획정보과 2023-06-15 2014
1946 제주도, 일본 하우스감귤 생산 1위 사가현 벤치마킹 1 기획정보과 2023-06-15 2069
1945 중국 통조림(감귤류) 시장 동향 1 기획정보과 2023-06-13 1908
1944 이달 하우스온주 출하량 증가 전망 1 기획정보과 2023-06-13 2041
1943 델몬트 콜드 제주감귤 출시 1 기획정보과 2023-06-07 2036
1942 고품질 감귤 생산 위한 레드향 5·6월 관리요령 1 기획정보과 2023-06-05 2136
1941 완숙 감귤보다 항산물질 2배… 제주 풋귤 재배 는다 1 기획정보과 2023-06-01 2176
1940 고온기 시설 감귤 관리에 유의하세요 1 기획정보과 2023-05-31 214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