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23 15:48:49      ·조회수 : 2,739     

<p></p>
<font size="5">“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font>

<font size="3" color="blue">강인선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장 특별기고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23 기고문

한·미 FTA 협상이 농업 등 1차 산업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서민들의 삶을 파탄에

이르게 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김태환 지사가 제4차 협상 제주 개최 확정과 관련

해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 FTA 협상단에게 제주지역 감귤의 어려움을 평화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삼자”고 도민들에게 호소한 것을 보면 정말로 제주감귤에 타

격이 많기는 많은 모양이다.

며칠 전, 홍영표 대통령직속 한·미 FTA체결지원단장은 감귤을 민감품목으로 지정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감귤의 ‘예외품목’지정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얘기와 다

를 바 없다. 감귤의 민감품목 지정은 감귤시장을 완전 개방하겠다는 것하고 같은 말

이다.

협상 이전부터 미국에게 알아서 기겠다는 것이다. 제주감귤 농가들이 원하는 것은

민감품목이 아니라 예외품목이다. 얼마 전에도 김종훈 FTA협상 수석대표가 민감품

목을 언급한 적이 있다.

서로들 돌아가면서 민감품목 운운하는 것이 아무래도 시작 전에 예외품목은 포기한

듯 싶다. 감귤의 보호장벽이 무너진다는 것은 제주경제의 무너짐을 의미한다. 물론

대부분의 농작물들이 많은 피해를 보겠지만 감귤의 피해는 제주경제에 직격탄을 가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행태로 볼 때, 농업에 대한 정부의 시각은 이렇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

(UR)의 강과 한·칠레 FTA강도 건넜으니 한미 FTA 농업개방이라는 강을 충분히 건

널 수 있다고 한다.

쌀을 제외할 경우 경쟁력 없는 품목의 비중은 2%에 불과한 만큼 충분한 지원대책을

세우면 겁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경쟁력 있는 품목이나 경쟁력 없는 품목이 대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도 않으면서 쌀을 가장 큰 쟁점으로 몰고 가 쇠고기

와 과일 등 미국의 요구를 희석시키려 한다는 의구심만 든다.

이미 학자들은 한·미 FTA로 인한 농업피해는 농업에 대한 국가폭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농민들은 경쟁력 없는 품목이 2%가 아니라 경쟁할 수 있는 품목이 2%도 안된

다고 본다. UR의 강을 건널 때 농가부채는 4배로 늘었고 농민은 절반만 남았다. UR

보다 더한 한·미 FTA는 우리가 결코 건너서는 안 되는 강이다. 잘못된 협상 때문에

농민이, 국민이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널 수는 없는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59 제주감귤, 3高 위기 속 조수입 1조원 돌파...'역대 최고 성과' 1 기획정보과 2023-06-26 2461
1958 제주 감귤산업 현안, 어떻게 풀어야 하나 1 기획정보과 2023-06-23 2314
1957 제주시농협 전문생산단지 최우수 평가 1 기획정보과 2023-06-23 2480
1956 여름철 재해 대응 농작물 안전관리 추진 1 기획정보과 2023-06-22 3078
1955 “제주감귤, 규격 외 상품 가공·수출 방안 찾아야” 1 기획정보과 2023-06-21 2825
1954 공영홈쇼핑, 4만원대 '농협과일맛선' 론칭…"6종류 엄선" 1 기획정보과 2023-06-21 2013
1953 감귤농축액 품질 개선 노력 얼마나 했나 1 기획정보과 2023-06-21 2028
1952 제주, 노지감귤 '근역제한재배' 도입 추진...생산비 절감 기대 1 기획정보과 2023-06-21 1993
1951 제주산 신선농산물 수출시장 동남아 등 다변화 주력 1 기획정보과 2023-06-21 1703
1950 [독자기고]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노력하자 1 기획정보과 2023-06-19 1624
1949 [시론담론] 감귤은 우리의 것 1 기획정보과 2023-06-19 2427
1948 제주도의회, 감귤가공사업 정책 확대 주문 1 기획정보과 2023-06-16 1924
1947 서귀포시, 만감류 등 열매 언 피해 지원 보상금 지급 1 기획정보과 2023-06-15 2015
1946 제주도, 일본 하우스감귤 생산 1위 사가현 벤치마킹 1 기획정보과 2023-06-15 2070
1945 중국 통조림(감귤류) 시장 동향 1 기획정보과 2023-06-13 1909
1944 이달 하우스온주 출하량 증가 전망 1 기획정보과 2023-06-13 2042
1943 델몬트 콜드 제주감귤 출시 1 기획정보과 2023-06-07 2037
1942 고품질 감귤 생산 위한 레드향 5·6월 관리요령 1 기획정보과 2023-06-05 2137
1941 완숙 감귤보다 항산물질 2배… 제주 풋귤 재배 는다 1 기획정보과 2023-06-01 2177
1940 고온기 시설 감귤 관리에 유의하세요 1 기획정보과 2023-05-31 214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