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와이드] 실패한 농정,예산낭비 악순환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5 10:11:34      ·조회수 : 2,436     


<b><font size=6>
[와이드] 실패한 농정, 예산낭비 악순환 </font><font size=4 color=blue>

한치 앞도 모르는 한심한 농정 감귤원 폐원 후 심은 채소 산지폐기
과잉생산에 보상비…근본 대책 없어 </font>

2007년 01월 24일 (수) 현민철 기자
<font size=3 color=red>
감귤가격이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 감귤재배 농가들이 희색인 반면 월동무 등 겨울채소 재배 농가들은 과잉 생산에 따른 가격 폭락으로 애써 가꾼 농작물을 산지폐기하는 등 울상이다.</font><font size=3>

△감귤‘줄고’, 타 작물 ‘늘고’=감귤 값 하락 등으로 제주도는 지난 1997년 ‘감귤원 폐원’이란 극약 처방을 꺼냈다. 첫 해 31.4㏊로 출발한 폐원 면적은 2001년 377.7㏊로 늘어난 뒤 2004년 2559.1㏊로 급증, 지난해까지 10년간 4616.5㏊에 이르고 있다.

폐원 정책 추진에 막대한 예산도 투입됐다. 지난해까지 폐원 대가로 농가에 1329억5000만원을 지급했다.

폐원된 농지에는 농가의 소득 가능성 검토에 따라 식량작물과 채소, 감자 등 다른 작물이 재배되거나 마땅한 재배작물이 없으면 놀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가 지난해 기준으로 감귤원 폐원농지 농작물 재배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면적 4587.5㏊ 가운데 1504.8㏊가 휴경지로 확인됐다.

반면 나머지 폐원지에는 식량작물 830.9㏊, 특용작물 716.4㏊, 채소 545.8㏊, 감자 501.2㏊, 조경수 228.5㏊, 축산 149.7㏊, 기타 과수 93.4㏊, 화훼 16.8㏊ 등 3000㏊의 밭작물이 재배되면서 생산량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감귤원 폐원 정책 추진으로 20% 가까이 줄어든 감귤원에 콩과 보리, 월동무, 감자 등 밭작물 재배 면적이 늘어나면서 가격 지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셈이다.

△제2·제3의 산지폐기 우려=감귤원 폐원농지에 대한 사후관리 부족은 고스란히 감귤을 제외한 다른 작물 재배 농가들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발생된 월동무 등 겨울 채소류 산지폐기가 대표적인 사례다.

소비자 증가 등 시장변동 요인이 없는 상황에서 재배면적이 급증, 가격폭락은 예견된 것이라는게 일부 농가들의 주장이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감귤원 폐원으로 겨울 채소류는 물론 감자와 콩, 보리 등 도내 밭작물 재배면적이 증가, 과잉생산에 따른 산지폐기 문제가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농정당국이 근본적인 대책은 마련하지 않은 채 보상비 지급 등 ‘돈’으로만 해결하려는 근시안적 정책 추진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감귤원 폐원지의 농작물 재배관리 실태 조사를 근거로 생산량과 농가 손익 등을 분석, 농가 지도를 병행하는 노력이 뒤따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폐원 정책 추진 당시부터 대체작물 문제가 꾸준히 제기됐지만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한 것도 농정 불신의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도 관계자는 “감귤원 폐원농지에 일부 채소 작물이 재배되면서 과잉생산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며 “농가들이 다양한 작물을 선택, 재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39 서귀포시 농촌 신활력플러스 사업 성과공유회 ‘귤:P 마켓’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05-30 3299
1938 기능성 탁월·지원 확대로 풋귤 생산농장 지정 신청 급증 1 기획정보과 2023-05-23 2692
1937 노지감귤 꽃 착화량 많아, 올해 생산량 폭증? 1 기획정보과 2023-05-18 2561
1936 제주시, 감귤 수출 ‘부담↓-참여↑’ 포장 상자 제작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5-15 2330
1935 감귤·블루베리 해충 ‘알락하늘소’ 포획 장치 보급 1 기획정보과 2023-05-15 2836
1934 제주, 노지감귤 잿빛곰팡이병 예찰 강조 1 기획정보과 2023-05-11 4340
1933 "제주 감귤가격 하락 원인..." 감귤 바이러스를 잡아라 1 기획정보과 2023-05-10 2684
1932 노지감귤 '잿빛곰팡이병' 발생 주의 1 기획정보과 2023-05-09 3245
1931 감귤꽃 향기가 바람에 날리고… 1 기획정보과 2023-05-03 2785
1930 환경 품종 농가열정 고품질 감귤 생산 핵심 비법 1 기획정보과 2023-05-03 3008
1929 [제민포럼] 감귤의 일상과 화이부동 1 기획정보과 2023-05-03 3346
1928 지역경제 활성화·홍보 한번에…잘 나가는 제주 귤, 임실 치즈 1 기획정보과 2023-04-26 3016
1927 제주감귤농협, 2023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 시작 1 기획정보과 2023-04-21 2372
1926 제주 감귤 경쟁력 키우는 ‘감귤본색’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1 기획정보과 2023-04-21 3728
1925 제주 감귤, 러시아 막히자 동남아로 간다 1 기획정보과 2023-04-21 3045
1924 예산 사과·제주 감귤 담은 ‘백종원 맥주’ 나온다...“지역 농가 활성화” 1 기획정보과 2023-04-21 2540
1923 기후변화가 불러온 '해충의 시대'... 감귤해충 5종 새로 확인 1 기획정보과 2023-04-14 2164
1922 제주, 한라봉.천혜향.레드향 소비촉진 할인 판매행사 진행 기획정보과 2023-03-02 3110
1921 제주, 감귤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 추진 기획정보과 2023-03-02 2655
1920 싱가포르에서 대박 친 겨울 감귤 ‘윈터프린스’ 기획정보과 2023-02-20 280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