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25 09:56:41      ·조회수 : 3,045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제주일보 7/25 송경훈 기자
제3호 태풍 ‘에위니아’를 비롯해 7월 들어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 오는 날과 흐린 날이 계속되면서 농민들이 작물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7월 평균기온은 24.9도로 평년 25.3도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 23일까지 내린 비의 양은 300.8mm로 평년 한달치 강수량인 232.3mm를 크게 웃돌고 있다.

그러나 하루 평균 일조 시간은 평년 4.65시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2시간 밖에 되지 않아 높은 습도에 의한 각종 병해충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농가에서는 잠시 비가 갠 틈을 이용해 방제 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일조량이 부족한데다 잦은 비 날씨 때문 약효 지속시간이 짧아지며 다시 방제에 나서야 하는 등 이중의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따라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최근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 ‘주의보 1호’를 발표하고 농가의 철저한 방제작업을 당부했다.

노지감귤의 경우 흑점병과 깍지벌레, 시설감귤의 경우는 응애류에 의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수박과 참외 등 밭작물의 경우 토양이 함유하고 있는 많은 양의 습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 활력이 약해져 탄저병과 덩굴마름병이 우려됨에 따라 10일 간격으로 적용약제를 살포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업기술원은 이와 함께 참깨의 경우 가장 치명적인 역병의 확산에 철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99 쓰고매운 귤 껍질이 지닌 의외의 중요한 기능 기획정보과 2023-01-10 4171
1898 고품질 출하로 노지감귤 가격 상승 이어가길 기획정보과 2022-12-29 3233
1897 제주도, '신품종 감귤 품종보호권 처분' 사전 설명회 개최 관리자 2022-12-29 2736
1896 감귤 소비트렌드 어떻게 달라졌나 기획정보과 2022-12-29 2848
1895 뉴질랜드 감귤수출, 판로 확대 계기로 기획정보과 2022-12-29 3402
1894 상자 속 귤, 곰팡이 피지 않게 하는 비법 기획정보과 2022-12-26 3432
1893 [제민포럼]빅데이터 활용 농가 수익 증대 기획정보과 2022-12-26 2831
1892 감귤 수출 검역협정 체결 없어 수출하고 싶어도 못한다 기획정보과 2022-12-26 3126
1891 연이은 한파에 미수확 노지감귤 피해 ‘비상’ 기획정보과 2022-12-26 3485
1890 ‘겨울 보약’ 귤…좋은 걸로 잘 먹는 법 기획정보과 2022-12-14 2490
1889 “샤인머스캣 꼴날라”…만감류 ‘적기출하’ 자성론 부상 기획정보과 2022-12-14 2452
1888 버려지는 감귤 부산물, 버섯 배지 활용 기획정보과 2022-11-30 3102
1887 롯데슈퍼에 제주 감귤 100톤 쏟아진 이유는… 기획정보과 2022-11-30 3291
1886 제주도, 2023년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지원 기획정보과 2022-10-07 3854
1885 샤인머스켓의 가격 하락, 서귀포 감귤 농가에 전하는 교훈 기획정보과 2022-10-07 3067
1884 비상품감귤 유통, 행정력 총동원해 단속 기획정보과 2022-09-28 2616
1883 제주 노지감귤 출하 시작…지난해 보다 품질 좋아 기획정보과 2022-09-28 3168
1882 고품질 감귤 생산은 행정이 아닌 농가들의 몫 기획정보과 2022-09-23 2981
1881 “위기의 제주 감귤, 2060년에는 현 재배방식 유지 힘들다” 기획정보과 2022-09-23 3368
1880 가공용↓-군납·수출↑.. '감귤과의 6개월 전쟁' 돌입 기획정보과 2022-09-23 317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