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감귤산업 '선택과 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2 17:01:56      ·조회수 : 3,034     

<html>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b><span style="font-size:15pt;">제주감귤산업 '선택과 집중' 필요 </span></b><p><font color="#666666"><span style="font-size:14pt;">FTA대비, '품질향상'으로 신뢰 회복을<BR>동북아감귤산업심포지엄</span></font></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제민일보 9/29 김영헌 기자</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제주 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책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29일 난지농업연구소 감귤연구센터에서 열린 동북아 감귤산업 발전 국제심포지엄에서 ‘한국 감귤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을 주제로 주제발표에 나선 김창명 박사(난지연구소 감귤과장)는 이같이 지적했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김 박사는 “무엇보다 노지감귤의 품질향상 및 등급화 차별화로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출하가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 즉 계통출하량의 80%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김 박사는 “노지에서 생산되는 온주밀감 가운데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 과실이 생산돼야 한다”며 “고품질감귤생산은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로 확대시키는 것이 급선무”라고 주장했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또 “이외에도 품종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 시비와 토양관리의 개선 등이 뒤따라야 한다”며 “이같은 극복방안이 제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이와 함께 이날 중국 화중농업대학 펑수앙 교수는 “중국은 머지않아 장래에 감귤생산량이 브라질을 제치고 세계 1위 생산국이 될 것”이라고 “아직은 국내 생산량이 수요를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3∼4년 후에는 국내 수요를 충족하고 수출량도 증가할 것”이라고 세계 감귤생산시장의 변화를 전망하는 등 중국과 일본의 감귤산업 현황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한편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FTA이행에 따른 감귤재배 농가의 피해가 확산되기 전에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동향을 파악해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킬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BR></font></span></P>
</body>

</html>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99 쓰고매운 귤 껍질이 지닌 의외의 중요한 기능 기획정보과 2023-01-10 3944
1898 고품질 출하로 노지감귤 가격 상승 이어가길 기획정보과 2022-12-29 3030
1897 제주도, '신품종 감귤 품종보호권 처분' 사전 설명회 개최 관리자 2022-12-29 2543
1896 감귤 소비트렌드 어떻게 달라졌나 기획정보과 2022-12-29 2629
1895 뉴질랜드 감귤수출, 판로 확대 계기로 기획정보과 2022-12-29 3194
1894 상자 속 귤, 곰팡이 피지 않게 하는 비법 기획정보과 2022-12-26 3241
1893 [제민포럼]빅데이터 활용 농가 수익 증대 기획정보과 2022-12-26 2627
1892 감귤 수출 검역협정 체결 없어 수출하고 싶어도 못한다 기획정보과 2022-12-26 2981
1891 연이은 한파에 미수확 노지감귤 피해 ‘비상’ 기획정보과 2022-12-26 3303
1890 ‘겨울 보약’ 귤…좋은 걸로 잘 먹는 법 기획정보과 2022-12-14 2337
1889 “샤인머스캣 꼴날라”…만감류 ‘적기출하’ 자성론 부상 기획정보과 2022-12-14 2271
1888 버려지는 감귤 부산물, 버섯 배지 활용 기획정보과 2022-11-30 2932
1887 롯데슈퍼에 제주 감귤 100톤 쏟아진 이유는… 기획정보과 2022-11-30 3095
1886 제주도, 2023년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지원 기획정보과 2022-10-07 3678
1885 샤인머스켓의 가격 하락, 서귀포 감귤 농가에 전하는 교훈 기획정보과 2022-10-07 2924
1884 비상품감귤 유통, 행정력 총동원해 단속 기획정보과 2022-09-28 2421
1883 제주 노지감귤 출하 시작…지난해 보다 품질 좋아 기획정보과 2022-09-28 2947
1882 고품질 감귤 생산은 행정이 아닌 농가들의 몫 기획정보과 2022-09-23 2801
1881 “위기의 제주 감귤, 2060년에는 현 재배방식 유지 힘들다” 기획정보과 2022-09-23 3158
1880 가공용↓-군납·수출↑.. '감귤과의 6개월 전쟁' 돌입 기획정보과 2022-09-23 296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