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04 14:26:30      ·조회수 : 3,992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제주타임즈 9/2 김용덕 기자
제주감귤협의회가 제주도에 건의한 감귤 8번과 규격을 현행 67mm~70mm까지에서 67mm~74mm까지로 확대해 달라는 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감귤협의회는 올해 대과발생률이 지난해보다 높을 것으로 판단, 현재 71mm이상이면 9번과로 규정해 출하가 금지되고 있는 비상품과 규격을 74mm이상으로 해 주도록 제주도에 건의했다. 즉 상품과인 8번과를 74mm까지로 할 경우 비상품과 처리가 수월, 농가소득에 한 몫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러나 제주도는 유통명령 재도입에 따른 실효성 상실과 정책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행 조례규정을 적용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감귤유통인협회와 도내 대다수의 농협은 일정품위이하의 감귤 규격 적용시 당해연도 작황을 고려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특히 9번과라도 당도가 11도브릭스 이상은 상품으로 유통을 허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유통조절추진위원회는 내부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비파괴선과시설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당장 시행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감귤협의회 관계자는 “올해산 감귤의 경우 대과발생 비율이 높아 선과규격을 조정하거나 9번과의 상품 유통을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유통조절추진위 관계자는 “당장 시행은 어렵다”고 전제 “올해산 노지감귤에 대해서는 유통혼란 방지 차원에서 현행 조례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앞으로는 유통책임을 지고 있는 생산자단체와 지도감독기관인 제주도가 협의를 통해 상품 규격을 융통성있게 정하는 방법을 검토해야 시점”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79 제주 감귤산업 발전 위해 모든 농가 '고품질' 생산해야 기획정보과 2022-09-23 2801
1878 제주 극조생 감귤 출하 '사전 품질검사' 통과해야 기획정보과 2022-09-20 2720
1877 노지감귤 출하 앞두고 비상품 유통 단속 ‘고삐’ 기획정보과 2022-09-19 2599
1876 제주시, 규격 외 감귤 유통 단속 시작…5개 단속반 운영 기획정보과 2022-09-19 2711
1875 제주 감귤, 스마트 품질관리기술로 경쟁력 높인다 기획정보과 2022-09-19 3057
1874 올해산 노지감귤 예산량은 줄고 품질은 우수 관측 기획정보과 2022-09-08 2593
1873 올해산 제주 노지감귤 생산량 46만여톤...일조시간 길어 품질은 높아진다!! 관리자 2022-09-08 2240
1872 제주감귤농협, 고품질감귤 생산 감귤열매솎기 일손돕기 기획정보과 2022-08-26 2114
1871 건강에 좋은 풋귤 본격 수확 기획정보과 2022-08-16 2189
1870 '풋귤’ 이렇게 활용하세요…레시피 제공 기획정보과 2022-08-10 2674
1869 [사설] 감귤에 올인하는 정책도 바뀔 때 됐다 기획정보과 2022-08-10 2835
1868 에스피프레시, 제주도 감귤 ‘산도롱 달귤’ 브랜드로 출시 기획정보과 2022-08-09 2996
1867 제주 감귤 재배면적 사상 첫 2만㏊ 이하로 줄었다 기획정보과 2022-08-09 2722
1866 하우스 감귤 출하 몰리며 가격 하락세 기획정보과 2022-08-09 3075
1865 올해 노지감귤 착과수 4% 감소…생육은 양호 기획정보과 2022-08-09 2680
1864 제주시, 올해산 풋귤 사전 출하농장 201농가 지정 기획정보과 2022-07-20 3104
1863 만성 콩팥병 환자, 사과·귤 등 ‘식이섬유’ 먹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22-07-20 2916
1862 2021년 산 제주 감귤 조수입 1조 원 돌파… 사상 처음 기획정보과 2022-07-19 2676
1861 제주감귤농협, 올해산 하우스감귤 수출 개시 기획정보과 2022-07-19 2065
1860 제주감귤 틈새시장 풋귤 경쟁력 높인다 기획정보과 2022-07-19 343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