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근시안적 감귤원 폐원 정책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6 10:38:26      ·조회수 : 2,716     


<b><font size=5>
[사설]근시안적 감귤원 폐원 정책 </font>

2007년 01월 25일 (목) 14:59:29 제민일보 <font size=3>

요즘 월동무 등 겨울채소 재배 농가들은 울상이다. 과잉 생산으로 가격이 폭락하면서 애써 가꾼 농산물을 헐값에 보상받고 산지폐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농민은 농민대로 손해보고 행정은 행정대로 예산을 낭비하는 행태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큰 원인은 감귤원 폐원 정책에 따른 대체작물 정책이 뒤따르지 않은데 있다.

제주도가 감귤원 폐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나선 것은 지난 1997년이다. 첫 해 31.4㏊이던 폐원 실적이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4616.5㏊가 폐원됐다.

투입된 예산만 1330여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 같은 감귤원 폐원 정책에 힘입어 감귤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감귤 재배 면적이 20% 가까이 줄어들면서 콩과 보리, 월동무, 감자 등의 밭작물 재배 면적은 늘어났다. 이 결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생산량 증가는 곧 가격 하락으로 이어짐은 경제의 기본이다.

밭작물에 대한 뚜렷한 소비량 확대 요인이 없는데도 생산량만 늘어났으니 가격이 좋을 리 만무하다. 그런데도 제주도 농정당국은 감귤 값 안정에만 급급한 나머지 폐원에 따른 사후 관리는 염두에 두지 않았다.

특히 감귤원 폐원을 정책화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가 지적됐는데도 제주도는 이를 간과했다. 작금의 월동 채소 산지폐기 사태는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근시안적 행정이 빚은 결과물에 다름 아니다.

더구나 겨울 채소는 말할 것도 없고 향후 감자와 콩, 보리 등 도내 다른 밭작물도 유사한 전철을 밟을 우려가 농후하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한 정책의 실패가 얼마나 큰 대가를 가져오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지금부터라도 농정당국은 제2·제3의 산지폐기 사태를 막기 위한 수습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언제까지 ‘산지폐기’와 ‘농산물 사주기운동’이라는 대증요법을 정책이랍시고 반복해서는 안 된다.
</font></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59 [제민포럼]지구온난화 대응 감귤생존 전략은 철학적 시선에서 기획정보과 2022-07-19 4618
1858 "7월 사과·거봉 포도 작년보다 비싸고 복숭아·감귤은 저렴" 기획정보과 2022-07-19 2751
1857 서귀포 습한 날씨에 감귤 품질 비상 기획정보과 2022-07-19 3418
1856 제주 시설감귤 비닐→뽁뽁이 전환, 품질.보온 둘 다 잡았다 기획정보과 2022-05-25 3555
1855 서귀포지역 감귤재배면적 되레 늘었다 기획정보과 2022-05-25 2634
1854 감귤꽃이 왜 늦게 피나 했더니… 기획정보과 2022-05-25 3821
1853 과일 소비 성향, 값보다는 질 중시 ...연간 소비량은 줄어 기획정보과 2022-05-10 3703
1852 과일 소비 5년간 감소세...수입산 거부감↓ 기획정보과 2022-05-10 3024
1851 이대로 가면 귤 재배 지역 강원도까지 올라간다 기획정보과 2022-04-14 3107
1850 제주 고품질 감귤 거점 과원 단지 육성 기획정보과 2022-04-14 3439
1849 노지 감귤 꽃 피는 시기 맞춰 해충 방제 신경써야 기획정보과 2022-04-14 2837
1848 "제주 풋귤,피부 주름 개선효과" 기획정보과 2022-04-07 2965
1847 국내 육성 감귤품종 로열티 받고 첫 미국진출 기획정보과 2022-03-28 3278
1846 감귤, '제주산' 아니라 '국내산' 되나? 기획정보과 2022-03-03 3485
1845 롯데마트, ‘캠핑갈때 감귤’ 출시…캠핑族 겨냥 기획정보과 2022-03-03 3446
1844 “충남감귤 어떠세요” 황금‧레드향 등 재배 증가세 관리자 2022-02-22 3283
1843 레드향, 천혜향 인기… 감귤류 건강 효능은? 기획정보과 2022-02-15 3835
1842 러시아, 제주산 노지감귤에 반했다…수출 날개 기획정보과 2022-02-15 3281
1841 과일 수입액 1조7000억…국내 생산액 30% 달해 기획정보과 2022-02-14 3883
1840 “감귤 재배 배울래요”… 신참 농부 농업교육 인기 기획정보과 2022-02-10 309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