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타임스][기고]"제주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합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10-04 09:56:12      ·조회수 : 2,848     

<b><font size = 4>[기고] "제주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합니다" </font></b>


감귤 열매솎기는 우리 농업인이 책임이요, 의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주 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하겠습니다.

제주감귤은 전체 경지면적(57,867ha)의 37%, 전체농가(36,465호)의 85%, 농가당 경지면적 0.7ha, 농산물 조수입의 55.3%를 차지하고 있는 제주의 관광산업과 더불어 지역경제를 지탱하는 지주산업으로써 감귤산업은 제주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만큼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감귤(원)산업이 공익적 기능을 환경보전적 기능의 가치와 관광자원으로서의 경관적 공익가치로 구분하면, 환경보전적 기능은 대기정화 기능, 수자원 함양 기능, 홍수조절, 토양유실 저감기능, 기후 순화기능 등 경제적 가치는 연간 1,816억원에 이르며, 관광자원으로서의 경관적 공익가치를 합하면 연간 2,499억원이라는 공익적 기능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또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불량 감귤 열매솎기 전선에 뛰어든지 한달이 넘었다.

정말 열심히 달려왔는데, 태풍 “나리”란 놈이 물 폭탄은 타오르던 열매솎기 열기를 식게 만들어 버렸다.

아마도 후반전 대 반격을 하라는 의미에서 잠시 쉬는 시간을 주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감귤 열매솎기는 단순한 생산량 조절이 아니다.

품질향상을 통한 소득 증대와 수확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부모가 자식 걱정하는 마음처럼 감귤나무를 잘 관리할 때 소비자가 감동하는 고품질감귤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불로초, 귤림원, 황제"등 브랜드 감귤이 좋은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엊그제 지나간 태풍이 아픔처럼 감귤재배 농업인은 지난 2002년 과잉생산으로 애지중지 키운 감귤을 아스팔트 위에 내동댕이 쳐야만 했던 아픈 경험을 갖고 있다.

그 만큼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안일했던 결과는 참혹했던 것이다. 감귤가격 폭락으로 제주농업인들의 영농 의지마저 꺾일 위기를 맞이하였던 것이 불과 몇 년 전일이 아닌가 ? 막막하고 절박 했던 7년의 세월 그러나 벼랑 끝에서 우리는 제주감귤을 지켜냈다.

감귤원 폐원과 1/2간벌, 열매솎기, 감귤 유통조절명령제 도입 등의 노력으로 최근 3년 동안 제주감귤은 전성시대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다시 절대 위기가 오고 있다. 이대로 주저앉으면 제주감귤은 절망적 상황에 빠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유통대란을 막기 위하여 불량 감귤 7만톤 이상을 반드시 솎아내어 절제절명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야 하겠다.

연일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태풍 피해복구를 하루 빨리 마무리하고 최소한 15일 이상 자기 감귤원에 나가서 비상품과 열매를 따내야 한다.

소비자가 감동하는 고품질 감귤의 적정생산과 공급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그것은 우리 농업인의 책임이요, 의무라고 생각한다.

4년 연속 조수입 6천억원 시대의 알찬 수확을 위하여 “생산량의 10% 이상 열매솎기운동” 3단계 감귤 수상선과에 반드시 전 감귤재배 농가가 참여하여 감귤 제값 받기를 실현하고 태풍의 상처를 말끔하게 씻어 주는 촉매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김 영 준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정책과 2007년 10월 03일 (수)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59 [제민포럼]지구온난화 대응 감귤생존 전략은 철학적 시선에서 기획정보과 2022-07-19 4472
1858 "7월 사과·거봉 포도 작년보다 비싸고 복숭아·감귤은 저렴" 기획정보과 2022-07-19 2687
1857 서귀포 습한 날씨에 감귤 품질 비상 기획정보과 2022-07-19 3355
1856 제주 시설감귤 비닐→뽁뽁이 전환, 품질.보온 둘 다 잡았다 기획정보과 2022-05-25 3496
1855 서귀포지역 감귤재배면적 되레 늘었다 기획정보과 2022-05-25 2574
1854 감귤꽃이 왜 늦게 피나 했더니… 기획정보과 2022-05-25 3745
1853 과일 소비 성향, 값보다는 질 중시 ...연간 소비량은 줄어 기획정보과 2022-05-10 3644
1852 과일 소비 5년간 감소세...수입산 거부감↓ 기획정보과 2022-05-10 2968
1851 이대로 가면 귤 재배 지역 강원도까지 올라간다 기획정보과 2022-04-14 3054
1850 제주 고품질 감귤 거점 과원 단지 육성 기획정보과 2022-04-14 3378
1849 노지 감귤 꽃 피는 시기 맞춰 해충 방제 신경써야 기획정보과 2022-04-14 2772
1848 "제주 풋귤,피부 주름 개선효과" 기획정보과 2022-04-07 2908
1847 국내 육성 감귤품종 로열티 받고 첫 미국진출 기획정보과 2022-03-28 3213
1846 감귤, '제주산' 아니라 '국내산' 되나? 기획정보과 2022-03-03 3416
1845 롯데마트, ‘캠핑갈때 감귤’ 출시…캠핑族 겨냥 기획정보과 2022-03-03 3382
1844 “충남감귤 어떠세요” 황금‧레드향 등 재배 증가세 관리자 2022-02-22 3222
1843 레드향, 천혜향 인기… 감귤류 건강 효능은? 기획정보과 2022-02-15 3768
1842 러시아, 제주산 노지감귤에 반했다…수출 날개 기획정보과 2022-02-15 3219
1841 과일 수입액 1조7000억…국내 생산액 30% 달해 기획정보과 2022-02-14 3786
1840 “감귤 재배 배울래요”… 신참 농부 농업교육 인기 기획정보과 2022-02-10 303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