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후위기 속 역대급 제주감귤 피해 … 열매 5개 중 1개 떨어져

· 작성자 : 감귤부      ·작성일 : 2024-09-26 16:14:08      ·조회수 : 1,396     

기후위기 속 역대급 제주감귤 피해 … 열매 5개 중 1개 떨어져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4.09.26 11:17
  •  댓글 0

 
제주감귤, 열과 피해율 19.8% … 전년대비 2.4배 늘어
서부 지역 피해 극심 … 무더위와 가뭄 등 지속된 탓 분석
전체 감귤생산량과 가격 등에 적지않은 영향 미칠 것 예상
최근 제주시 조천읍의 한 감귤 과수원에서 확인된 감귤 피해, 가지에 매달려 있던 대부분의 감귤 열매가 떨어지고, 가지에 남은 열매 역시 껍질이 벌어지는 피해가 나타났다. /사진=독자제공.
최근 제주시 조천읍의 한 감귤 과수원에서 확인된 감귤 피해, 가지에 매달려 있던 대부분의 감귤 열매가 떨어지고, 가지에 남은 열매 역시 껍질이 벌어지는 피해가 나타났다. /사진=독자제공.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여름철 역대급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심각한 수준의 제주감귤 낙과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감귤 나무에 열린 열매 5개 중 1개가 떨어지는 수준으로, 전체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쳐 감귤 가격에 어떻게 반영될 것인지 주목된다. 

26일 제주도 및 제주도농업기술원 등에 따르면 최근 감귤 농가에서 익지 않은 감귤이 나무에서 떨어지거나, 껍질이 벌어지는 등의 열과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피해율은 9월21일 기준 19.8%. 나무에 매달린 열매 5개 중 1개가 피해를 입고 나무에서 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피해율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도 하다. 21일 기준 제주시 피해율은 13%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피해 수준이 적은 정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감귤의 주산지인 서귀포 지역은 피해율이 20.4%로 나타났고, 동부는 22.7%, 서부는 28.6%의 피해율을 보였다. 서부지역의 피해가 특히 심각한 수준으로 열매 4개 중 1개 이상이 피해를 입은 꼴이다. 

올해 피해율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 수준에 달한다. 지난해 감귤 피해는 9월26일 기준 8.2%로 집계됐었다. 올해는 피해가 이보다 2.4배 가량 더 큰 정도다. 

올해 감귤 피해가 이처럼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날씨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여름철 역대급이라고 할 수 있었던 무더위가 나타난 데다, 이 무더위가 이례적으로 9월 중하순까지 지속되면서 감귤이 이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특히 이 무더위 속에 8월 최악의 가뭄까지 겹친 것이 감귤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올해 8월 제주의 강수일수는 6일에 불과했다. 지난 30년 동안의 8월 평균 강수일수 13.2일인데, 올해는 이 30년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8월 한 달동안의 전체 강수량도 47㎜에 불과했다. 1942년 8월 13.2㎜ 이후 역대 두 번째로 적은 8월 강수량이었다. 

무더위 속에서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감귤 나무에 공급될 수분이 부족했고, 이는 감귤 열매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지 못하면서 감귤 열매가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그 와중에 9월 중 많은 비가 내리면서 이 수분을 흡수한 감귤열매가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고, 이미 가뭄의 영향으로 껍질 등이 약해진 상태에서 열매의 성장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찢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더해 고온과 가뭄을 지나오면서 약해진 열매들이 썩으면서 결국 나무에서 대량으로 떨어지는 상황까지 이어졌다. 

제주시 조천읍에서 감귤 농사를 짓는 A씨는 "나무에서 떨어지거나 껍질이 손상되는 감귤이 상당히 많은 수준"이라며 "무더위와 가뭄 등의 영향이 상당히 큰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감귤 생산량이나 감귤 가격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농업기술원 등에서 예측한 올해 감귤 전체 생산량은 40만8300톤이다. 하지만 A씨의 우려대로 최근 들어 피해가 커지고, 열매 5개 중 1개 꼴로 나무에서 떨어지면서 전체 생산량도 크게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업기술원 역시 최근 나타나고 있는 감귤 피해가 전체 생산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이번 피해로 인해 감귤의 전체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향후 감귤가격에도 어느 정도 영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가을 기상상황이 점차 나아지면서, 남아 있는 감귤의 당도나 산도 등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39 제주농협 만감류 감귤 가격지지 위해 뭉쳤다 기획정보과 2022-02-08 3539
1838 북한에 감귤 보내기 재개 되나 ‘제주 5+1 구상’ 기획정보과 2022-02-07 3026
1837 경주, 감귤류·멜론 등 아열대 과일 재배 ‘잰걸음’ 기획정보과 2022-02-07 3598
1836 귤로 전을 부치다.. 몸의 변화가? 기획정보과 2022-01-28 3371
1835 감귤 명품 브랜드단지 '혁신의 밀알' 기획정보과 2022-01-28 2553
1834 감귤 산지폐기 폭증에 제주도 “가공용 처리 가능” 기획정보과 2022-01-28 3687
1833 제주시, 2022년 FTA기금 15개 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22-01-27 3350
1832 ‘당도 12브릭스’ 도전…제주 감귤 품질 혁신 나선다 기획정보과 2022-01-27 3154
1831 제주시 감귤원 1/2 간벌 스타트…99㏊ 목표 기획정보과 2022-01-27 3200
1830 美오렌지 흉작 소식에 주스가격 급등 기획정보과 2022-01-19 2513
1829 "피부에 와닿는 감귤 명인 교육" 기획정보과 2022-01-19 2742
1828 제주농업기술원, 올해 감귤 신품종 개발 주력 기획정보과 2022-01-18 5312
1827 삶은 달걀과 귤의 조합.. 몸의 변화가? 기획정보과 2022-01-18 3309
1826 큐텐, 싱가포르서 제주감귤 완판 이어 한라봉 판매 개시 기획정보과 2022-01-18 2585
1825 서귀포시, 노지감귤 토양피복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22-01-18 2712
1824 제주감귤 '규격 외' 비상품 1만 2000톤, 시장 격리 추진 기획정보과 2022-01-13 2912
1823 2인1조 비상품 감귤 수송 작전…가공공장 앞 장사진 언제까지 기획정보과 2022-01-12 3465
1822 "톡톡" 터지면서 새콤달콤, 제주 감귤 기획정보과 2022-01-11 3439
1821 비대면 추세 맞춰 감귤 '직배송' 늘린다 기획정보과 2022-01-11 2497
1820 규격외 감귤 처리난 행정 의존 심화 우려 기획정보과 2022-01-11 24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