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사]뚱뚱한 사람에겐 귤보다 껍질이 '보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2 11:02:23      ·조회수 : 2,977     

<b>귤은 뚱뚱한 사람에겐 '독'이 될 수 있다고? </b>

<b>스포츠서울닷컴 2007년 01월 20일 (토) 07:51:51 메디컬투데이 mdtoday.iamdoctor.com</b>


겨울에 가장 인기 있는 과일은 귤이다. 귤은 감기예방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흔하게 구할 수 있어 서민들의 대표적인 과일이라 할 수 있다.

한방에서 보는 은 잎, 껍질, 씨를 모두 약재로 쓰고 꽃을 차의 재료로 이용할 만큼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과일이다.

특히 귤 껍질은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귤껍질은 좋다는 걸 알면서도 농약오염의 불안감으로 인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잘만 관리해서 활용하면 훌륭한 보약이 된다.

◇ 뚱뚱한 이에게 귤은 ‘독’일수도

귤에는 구연산이라는 물질이 들어있어 스트레스와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비타민이 풍부해서 눈에 좋으며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한다.

동맥경화와 고혈압 예방에 효과가 있고, 잇몸이나 혈관을 튼튼하게 해 상처를 빨리 낫게 할 뿐 아니라 활발한 장운동도 도와 노폐물의 축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대장암 예방이나 유방암의 세포의 증식을 막아준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하지만 뚱뚱한 사람에게 귤은 좋지 않을 수 있다. 대전대 대전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이연월 교수는 귤은 겨울에 나는 과일로 찬 성질을 갖고 있어 소화가 잘 안되며 담을 생성할 수 있다고 충고한다.

한방에서 담이란 소화가 안될 때 생길 수 있는 노폐물을 말하며 소화기능이 약할 대 생긴다. 반면 몸이 마르고 화가 많은 사람에게 귤은 수분을 보충해 주고 갈증을 없애는데 효과적이다.

◇ 잘 익은 껍질 ‘진피’는 훌륭한 약제

귤껍질은 귤보다 더 훌륭한 약효를 갖고 있다.

동국대 일산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김호준 교수에 따르면 귤껍질은 귤과 반대로 맵고 쓴 맛에 따뜻한 성질이 있다.

귤 껍질 중 채 익지 않은 것을 청피(靑皮), 잘 익은 것을 진피(陳皮), 껍질 안쪽의 흰 부분만 제거한 나머지 부분을 귤홍(橘紅)이라 하여 각각의 부분을 다르게 활용할 정도로 쓰임새가 많다.

특히 진피는 기운을 소통시켜 주고, 몸에 쌓인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 위장기능을 활발하게 해 소화를 촉진 시키고, 구역질, 구토, 딸꾹질을 막고 땀을 내 기침과 가래를 줄여 준다.

또, 물고기와 바닷게의 독을 풀고 비린내를 없애는데 효과적이며, 생선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씹으면 씻은 듯이 내려가게 한다.

또, 파란색으로 덜 익은 귤껍질인 청피는 기를 흩어버리는 성질이 강해 스트레스 과다로 인해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 경우와 뱃속의 덩어리를 풀어주는데 좋다.

◇ 식초에 담갔다 맑은 물에 헹궈야 먹어야 안전

하지만 귤껍질은 그냥 먹기엔 농약재로 인해 위험하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특수한 처리를 거친 것이지만 일반적인 귤은 껍질을 우려먹기엔 좋지 않다.

김호준 교수는 농약의 위험성을 줄이려면 흐르는 맑은 물에 여러 번 씻은 후 약간의 식초를 탄 물에 잠시 담가 두었다 헹궈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말려두었다가 사용할 것을 권한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오래 보관한 것일수록 효과가 크다. 먹을 때는 차로 우려먹는 것이 좋다. 또, 입욕제로 활용하면 피로회복과 감기예방,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체내에 열을 일으키고, 땀을 내는 작용이 있으므로 허열이 많거나 기운이 약해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전한다.

또, 몸에 음기가 부족해 가래 없이 마른 기침을 자주하거나 기운이 약하고 너무 마른 사람에게는 맞지 않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19 "밀감보다 만감"···천혜향, 지난해 매출 71% 늘었다 기획정보과 2022-01-05 3026
1818 국내 성인들이 선호하는 4대 과일은?··· 사과, 귤, 배, 바나나 기획정보과 2022-01-05 3296
1817 비타민 덩어리 ‘귤’...왜 겨울철에 먹는 것이 더 건강에 좋을까? 기획정보과 2022-01-05 3788
1816 노지감귤 이어 만감류 가격도 호조세 이어가 기획정보과 2022-01-04 2961
1815 딸기엔 떡볶이?…호텔 뷔페서 편의점까지 휩쓴 기획정보과 2022-01-04 2981
1814 제주, 가공업체에 비상품 감귤 수매 확대 요청 기획정보과 2021-12-31 3308
1813 [푸드스토리텔러 노유진의 음식 이야기] 겨울철 보양간식 귤 기획정보과 2021-12-28 2777
1812 '대표 겨울과일' 제주 감귤의 눈물…지자체마저 "농사 접어라" 기획정보과 2021-12-27 2787
1811 서귀포시 올해산 감귤 조수입 8500억 기대 기획정보과 2021-12-27 2793
1810 제주 만감류, 수입 증가율·규모 모두 노지감귤 앞서 기획정보과 2021-12-27 3569
1809 조선 왕들도 즐겨먹더니…'항암 효과' 겨울 과일 뭐길래 기획정보과 2021-12-24 3408
1808 제주 부패감귤 처리, 행안부·과기부 협력사업 최우수 사례 기획정보과 2021-12-24 2469
1807 연말 앞두고 치솟는 노지감귤 가격 기획정보과 2021-12-24 3256
1806 '알고 먹어야 맛있다'…농진청, 감귤 상식 알려 기획정보과 2021-12-20 2640
1805 감귤 수출 활성화 위한 '단일조직' 출범…품질 경쟁력 강화 기획정보과 2021-12-20 3083
1804 광주시, 고품질 ‘팔당愛감귤’ 생산 현장컨설팅 추진 기획정보과 2021-12-17 2742
1803 [新농사직썰⑳] 겨울 감귤의 끝판왕 '윈터프린스'..만감류 왕좌 노린다 기획정보과 2021-12-17 2951
1802 농협유통, 서귀포 농협과 함께 감귤 직거래 행사 개최 기획정보과 2021-12-17 2489
1801 산도 높은 비상품 천혜향 판매·유통한 농가·선과장 적발 기획정보과 2021-12-15 2693
1800 전남도-제주 서귀포시, 고구마.감귤 공동 판촉전 기획정보과 2021-12-15 293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