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
<font size="5">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font>
<p></p>
<font size="4" color="#857375">지자체 대북협력사업 줄줄이 중단 위기</font>
<font size="3">제민일보 10/9
<p></p>
북한의 핵무기 실험 강행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중인 대북협력사업이 중단
될 위기를 맞고 있다. 통일부가 인도적 지원마저 중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다
남북간의 긴장관계가 최고조에 이른 상황에서 대북지원을 강행하면 비판여론이 들
끓을 게 우려되기 때문이다.
◇지자체 대북지원 중단 선언=경기도는 9일 북한과 공동으로 추진해온 농촌현대화
사업을 잠정 중단키로 했다. 도는 이날 성명을 내고 "대북협력사업과 관련한 신규 물
자 지원을 전면 보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2008년까지 마을 진입
로 확·포장,진료소 신축,도정공장 신축,학교 및 유치원 신증축 등 새마을운동과 같
은 형태의 북한농촌 현대화사업을 벌일 게획이었다. 경기도는 그동안 콤바인과 이앙
기,트랙터 등 각종 농기계와 시멘트,철근 등 각종 건설자재 등 모두 40억원 상당의
물품과 연인원 100여명의 기술진을 북한에 보냈다. 현재 도정공장 신축을 위해 파견
된 민간인 1명이 북한에 체류중이다.
감귤 보내기 운동을 8년째 이어온 제주도민들의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도 중단될 가
능성이 커졌다. 제주도민들은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감귤 8000여t,당근 1만3000여t,
목초 종자 2t,의약품,수해복구 자재 등 100억원 상당을 북한 동포들에게 보냈다. 올
해도 감귤 1만t 지원 방침을 정하고 다음달 북측과 구체적인 지원 일정 등을 협의할
예정이었다.
부산시는 지난해 9월부터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했으나 이를 무기
한 연기하기로 했다. 시는 당초 이달중 조례안을 마련해 시의회에 상정한 뒤 이르면
올 연말부터 남북교류협력기금 마련 등 대북지원사업에 나설 예정이었다.
전북 전주시가 추진하는 전북 농산물과 북한 한약재 물물교환 사업도 위축될 전망이
다. 전주시는 대북교류사업의 내년도 예산으로 8000만원을 반영,남북교류와 의료봉
사 등을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동계올림픽 유치와 세계 진출 전략에 찬물=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추진중인
강원도 역시 북한의 핵무기실험 강행으로 큰 충격에 빠졌다. 북핵 위기가 장기화할
경우 내년 2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현지 실사 때 안전성 측면에서 경쟁 도시
보다 낮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강원도는 또 올 초 분단 이후 최초로 남북아이스하키 친선경기를 개최하는 등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남북 협력사업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2000년부터 금강산 솔잎
혹파리 공동방제,금강산 연어부화 사업,강원도 민속축전 등 대북협력사업을 지속적
으로 추진해왔다.
충남도가 추진중인 금산인삼과 개성인삼의 '고려인삼 브랜드화' 사업도 어긋나게 됐
다. 충남도는 금산인삼엑스포를 계기로 남북협력사업의 하나로 남한의 대표적 인삼
인 금산인삼과 북한의 대표 인삼인 개성인삼을 합해 '고려인삼'으로 브랜드화함으로
써 세계시장을 석권한다는 계획을 세웠었다. 충남도 관계자는 "검증된 인삼 기술과
종묘를 북측에 제공하는 등 상호 연계를 통해 상생을 넘어 세계 최고의 자리를 지
킬 수 있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fo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