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와이드] 실패한 농정,예산낭비 악순환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5 10:11:34      ·조회수 : 2,403     


<b><font size=6>
[와이드] 실패한 농정, 예산낭비 악순환 </font><font size=4 color=blue>

한치 앞도 모르는 한심한 농정 감귤원 폐원 후 심은 채소 산지폐기
과잉생산에 보상비…근본 대책 없어 </font>

2007년 01월 24일 (수) 현민철 기자
<font size=3 color=red>
감귤가격이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 감귤재배 농가들이 희색인 반면 월동무 등 겨울채소 재배 농가들은 과잉 생산에 따른 가격 폭락으로 애써 가꾼 농작물을 산지폐기하는 등 울상이다.</font><font size=3>

△감귤‘줄고’, 타 작물 ‘늘고’=감귤 값 하락 등으로 제주도는 지난 1997년 ‘감귤원 폐원’이란 극약 처방을 꺼냈다. 첫 해 31.4㏊로 출발한 폐원 면적은 2001년 377.7㏊로 늘어난 뒤 2004년 2559.1㏊로 급증, 지난해까지 10년간 4616.5㏊에 이르고 있다.

폐원 정책 추진에 막대한 예산도 투입됐다. 지난해까지 폐원 대가로 농가에 1329억5000만원을 지급했다.

폐원된 농지에는 농가의 소득 가능성 검토에 따라 식량작물과 채소, 감자 등 다른 작물이 재배되거나 마땅한 재배작물이 없으면 놀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가 지난해 기준으로 감귤원 폐원농지 농작물 재배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면적 4587.5㏊ 가운데 1504.8㏊가 휴경지로 확인됐다.

반면 나머지 폐원지에는 식량작물 830.9㏊, 특용작물 716.4㏊, 채소 545.8㏊, 감자 501.2㏊, 조경수 228.5㏊, 축산 149.7㏊, 기타 과수 93.4㏊, 화훼 16.8㏊ 등 3000㏊의 밭작물이 재배되면서 생산량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감귤원 폐원 정책 추진으로 20% 가까이 줄어든 감귤원에 콩과 보리, 월동무, 감자 등 밭작물 재배 면적이 늘어나면서 가격 지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셈이다.

△제2·제3의 산지폐기 우려=감귤원 폐원농지에 대한 사후관리 부족은 고스란히 감귤을 제외한 다른 작물 재배 농가들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발생된 월동무 등 겨울 채소류 산지폐기가 대표적인 사례다.

소비자 증가 등 시장변동 요인이 없는 상황에서 재배면적이 급증, 가격폭락은 예견된 것이라는게 일부 농가들의 주장이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감귤원 폐원으로 겨울 채소류는 물론 감자와 콩, 보리 등 도내 밭작물 재배면적이 증가, 과잉생산에 따른 산지폐기 문제가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농정당국이 근본적인 대책은 마련하지 않은 채 보상비 지급 등 ‘돈’으로만 해결하려는 근시안적 정책 추진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감귤원 폐원지의 농작물 재배관리 실태 조사를 근거로 생산량과 농가 손익 등을 분석, 농가 지도를 병행하는 노력이 뒤따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폐원 정책 추진 당시부터 대체작물 문제가 꾸준히 제기됐지만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한 것도 농정 불신의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도 관계자는 “감귤원 폐원농지에 일부 채소 작물이 재배되면서 과잉생산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며 “농가들이 다양한 작물을 선택, 재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59 깐마늘 소비 부진, 양파 가격 하락에 소비촉진 행사 열려 총무기획부 2025-07-02 626
2158 '고당도' 제주하우스감귤, 내달 출하한다...2만 6600t 규모 총무기획부 2025-06-30 832
2157 25년산 육지부당근 재배현황 및 유통실태 시장조사 참여 총무기획부 2025-06-27 740
2156 마늘·양파 생산 농가, 최대 주산지 영남서 품목농협 출범 총무기획부 2025-06-25 562
2155 김완근 제주시장, 경남 창녕농협 방문해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간담회 총무기획부 2025-06-24 718
2154 제주도, '공감톡톡 제주농정 브리프' 창간호 발간 총무기획부 2025-06-17 552
2153 감귤 '상품' 기준 잘 바꿨다...행안부 '적극행정' 우수 사례로 총무기획부 2025-06-16 588
2152 제주 구제역 청정지역 인증 선포식..."축산물의 국제적 신뢰 의미" 총무기획부 2025-06-11 543
2151 제주농협, 10일 마늘·양파 직거래장터 연다 총무기획부 2025-06-10 735
2150 "뽑지도 않은 양파값까지 후려쳐" 뿔난 농심 총무기획부 2025-05-30 642
2149 제주 당근, 최근 10년간 노동시간 28% 감소 총무기획부 2025-05-28 677
2148 제주 '대정암반수 마늘 직거래장터'개장...6월3일까지 운영 총무기획부 2025-05-26 739
2147 한림농협, 우리지역 농산물 경쟁력 강화 위한 유통간담회 개최 총무기획부 2025-05-20 645
2146 제주 농수축산물, 현대홈쇼핑 통해 전국으로 판매 확대 총무기획부 2025-05-20 546
2145 제주 대정농협 채소류 출하 조절센터 본격 운영 총무기획부 2025-05-16 652
2144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안덕면 마늘농가 수확 일손 돕기 나서 총무기획부 2025-05-15 574
2143 제주농협 , 2025 영농 지원 발대식 총무기획부 2025-05-13 530
2142 2025년산 노지감귤 가격안정관리제 수립현장 의견 수렴 총무기획부 2025-05-12 514
2141 "제주에서 온 봄은 어떻게 서울을 흔들었나?"..카라향·골드키위, 봄의 정점에 향을 흩날리다 총무기획부 2025-05-07 621
2140 제주 월동채소 급감 농민-유통시장까지 악영향 확대 총무기획부 2025-04-29 53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