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고] 감귤! 조수입 1조원 시대를 열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2 17:08:56      ·조회수 : 2,459     

<html>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5.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5.000pt;color:"#000000";font-weight:"bold";line-height:18.0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b>[기고] 감귤! 조수입 1조원 시대를 열자 </b></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t; text-align:justify; line-height:14.4pt;">제민일보 10/1 </span> <span style="font-size:14pt;"></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t; text-align:justify; line-height:14.4pt;">지난달 29일 난지연구소 감귤연구센터에서 동북아 감귤산업 발전방향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이 열렸다.</span><span style="font-size:14pt;"> </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t; text-align:justify; line-height:14.4pt;">일본의 발표자는 고품질 생산을 위해 무려 5000㏊이상 타이벡 멀칭재배를, 소비촉진을 위해 소비자들에 대한 홍보로 국민 1인당 하루 200g 소비운동 추진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span><span style="font-size:14pt;"></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t; text-align:justify; line-height:14.4pt;">중국의 발표자는 180만㏊의 엄청난 면적에 각종 품종의 감귤원을 조성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과수원은 저지대에서는 부적합하므로 일본과 비슷하게 오름에 과수원을 개원하고 있다. 품질은 수치로 나타난 당도가 11도이상 산도가 0.7%라고 알려준다. 앞으로 중국산, 일본산과의 경쟁을 한다면 만만치 않음을 예고하고 있다.</span><span style="font-size:14pt;"></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t; text-align:justify; line-height:14.4pt;">우리나라 발표자(김창명 박사&middot;난지연구소 감귤과장)는 1조원 시대를 열자고 힘주어 말했다.</span><span style="font-size:14pt;"></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t; text-align:justify; line-height:14.4pt;">“생산량을 늘릴 수 없는 현실에서 가격을 지금보다 2배 높게 받아야 하므로 지금과 같은 유통구조로는 어려운 일이다. 농민의 자세가 변화돼야 하고, 구조개선이 이뤄져야 하며, 유통혁신이 뒤따라야 함은 당연하다. 노지감귤 6200억원, 만감류 2250억원, 가온재배 1000억원, 무가온 월동재배 900억원의 목표달성은 돼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노지감귤에서도 당도 13브릭스 이상 최상품이 5%(㎏당 가격 5000원), 12브릭스 이상
30%(㎏당 가격 3000원) 생산돼야 하고, 당도 10브릭스 미만의 감귤은 신선과 판매가 되지 않아야 한다. 만감류나 시설재배 감귤은 모두 12브릭스 이상의 상품만을 생산해 수입과실보다 품질우위를 점해 높은 가격에 판매돼야 함은 당연하다”고 역설했다.</span><span style="font-size:14pt;"></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t; text-align:justify; line-height:14.4pt;">감귤농민, 행정당국, 연구지도, 협동조합 등 감귤 관계자 모두는 이 안을 수용하자. 책임부서에서는 이 안에 대한 토론과 세부계획을 세우는 등 1조원 달성을 위한 노력을 하자. 결코 공염불이 돼서는 안된다.</span><span style="font-size:14pt;"> </span>
</P>
</body>

</html>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79 온라인 특판행사 한몫 제주 하우스감귤 선전 ‘눈길’ 기획정보과 2021-08-20 2968
1778 기능 성분 풍부한 ‘풋귤’제철이 돌아왔다 기획정보과 2021-08-18 3143
1777 잦은 비 날씨 농작물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21-08-17 4476
1776 서귀포시 온라인 유통 비상품 감귤 단속 강화 기획정보과 2021-08-17 3558
1775 제주농기원, 노지감귤 열매솎기 당부 기획정보과 2021-08-11 2945
1774 제주감귤 팔고 싶다면? ‘품질검사원’ 신고! 기획정보과 2021-08-11 3338
1773 감귤 신품종 무단반출 막는다…제주 3품종 유전자 분석 완료 기획정보과 2021-08-05 4306
1772 "노지감귤 제값받기 열매솎기 해주세요" 기획정보과 2021-08-05 3914
1771 제주 감귤의 또 다른 맛'풋귤' 기획정보과 2021-07-30 3028
1770 “물량부족 때도 제주감귤 군납...그 대가가 이렇게 돌아오나” 기획정보과 2021-07-29 3174
1769 [열린마당] 감귤의무자조금사업 참여로 자생력 키우자 기획정보과 2021-07-29 3073
1768 '노지감귤 가격안정관리제' 10월 첫 시행 기획정보과 2021-07-29 2801
1767 하우스감귤 하락세...출하 조절 등 가격지지 노력 요구 기획정보과 2021-07-26 3761
1766 '제주감귤20년' 재배품종 지형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21-07-22 3464
1765 제주,잇딴 폭염에 노지감귤 병해충 '볼록총채벌레'급증 기획정보과 2021-07-16 4070
1764 제주감귤 판매액 사상 처음 9500억 넘어 기획정보과 2021-07-13 2812
1763 올해산 노지감귤 차과 5.5%감소...추가 낙과 우려 기획정보과 2021-07-12 2948
1762 제주서 감귤 등에 막대한 피해 오리엔탈과실파리 발견'초긴장' 기획정보과 2021-07-09 3451
1761 하우스 감귤 가격 호조..철저한 품질 관리 요구돼 기획정보과 2021-07-02 3291
1760 친환경 인증 노지감귤 재배방법 한눈에 기획정보과 2021-06-23 257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