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시비기준 재설정해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0 11:32:40      ·조회수 : 3,831     

▲감귤에 주는 화학비료의 양을 지금보다 30% 정도 줄여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감귤밭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p></p>
<font size="5"><b>감귤 시비기준 재설정해야 </b>

<font size="4" color="blue">10a당 질소 23㎏·인산 20㎏·칼리 19㎏이 적당</font>

<font size="3">농민신문 11/20 윤덕한 기자

감귤 시비기준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제기됐다.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가 지난 1994~2005년 12년 동안 연구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의 10a(300평)당 시비기준량(성분량)인 질소 28㎏, 인산 40㎏, 28㎏은 지나치

게 많은 양이어서 영농비 상승과 과실 품질 저하,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

라서 질소비료는 23㎏으로 17.8% 줄여주고, 인산과 칼리도 50%와 32% 적은 20㎏과

19㎏을 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적정 시비량 추정은 20년생 조생종 〈온주〉가 심겨진 화산회토 밭 10a에

퇴비 2t을 공급했을 때 기준으로 비료성분의 작물 흡수량과 토양 함유량, 작물 생

육, 품질 등을 조사해 계산한 것이다.

화학비료 사용량을 이처럼 줄일 경우 제주지역 전체에서 연간 53억원의 영농비를 절

약할 수 있으며 수확한 감귤의 당산비가 평균 7.77%에서 9.22%로 18.7%포인트 높아

지고, 상품성이 높은 중소과 비율이 36.5%에서 51.3%로 늘어나는 등 품질 향상에 크

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거리 폭도 기존 31.3%에서 25.5%로 줄어들어 경영

안정에 도움이 됐다. 또 토양 화학성이 개선되고 지하수 용탈이 줄어 환경보전 효과

도 기대된다.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비료성분은 칼리로 토양 1㎏의 칼륨 함량이 0.56~0.6c

㏖로 낮아질 때까지 칼리비료를 주지 않다가 이보다 더 떨어지면 그때부터 해마다

10a당 성분량으로 19㎏씩 주면 된다. 칼리비료를 줄여주면 3년이 지나면서부터 산

도가 감소하기 시작하고 6년차부터는 당도가 증가한다.

시비 비율은 질소는 봄 50%, 여름 20, 가을 30%로 나눠주고, 인산은 전량 봄에, 칼리

는 봄 30%, 여름 40%, 가을에 30%를 살포하는 것이 적당했다.

</font>

<b>감귤 시비기준 재설정해야 </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79 온라인 특판행사 한몫 제주 하우스감귤 선전 ‘눈길’ 기획정보과 2021-08-20 2983
1778 기능 성분 풍부한 ‘풋귤’제철이 돌아왔다 기획정보과 2021-08-18 3163
1777 잦은 비 날씨 농작물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21-08-17 4478
1776 서귀포시 온라인 유통 비상품 감귤 단속 강화 기획정보과 2021-08-17 3563
1775 제주농기원, 노지감귤 열매솎기 당부 기획정보과 2021-08-11 2948
1774 제주감귤 팔고 싶다면? ‘품질검사원’ 신고! 기획정보과 2021-08-11 3341
1773 감귤 신품종 무단반출 막는다…제주 3품종 유전자 분석 완료 기획정보과 2021-08-05 4334
1772 "노지감귤 제값받기 열매솎기 해주세요" 기획정보과 2021-08-05 3928
1771 제주 감귤의 또 다른 맛'풋귤' 기획정보과 2021-07-30 3055
1770 “물량부족 때도 제주감귤 군납...그 대가가 이렇게 돌아오나” 기획정보과 2021-07-29 3176
1769 [열린마당] 감귤의무자조금사업 참여로 자생력 키우자 기획정보과 2021-07-29 3085
1768 '노지감귤 가격안정관리제' 10월 첫 시행 기획정보과 2021-07-29 2816
1767 하우스감귤 하락세...출하 조절 등 가격지지 노력 요구 기획정보과 2021-07-26 3780
1766 '제주감귤20년' 재배품종 지형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21-07-22 3479
1765 제주,잇딴 폭염에 노지감귤 병해충 '볼록총채벌레'급증 기획정보과 2021-07-16 4093
1764 제주감귤 판매액 사상 처음 9500억 넘어 기획정보과 2021-07-13 2813
1763 올해산 노지감귤 차과 5.5%감소...추가 낙과 우려 기획정보과 2021-07-12 2960
1762 제주서 감귤 등에 막대한 피해 오리엔탈과실파리 발견'초긴장' 기획정보과 2021-07-09 3454
1761 하우스 감귤 가격 호조..철저한 품질 관리 요구돼 기획정보과 2021-07-02 3308
1760 친환경 인증 노지감귤 재배방법 한눈에 기획정보과 2021-06-23 257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