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비상품 출하 감귤 설 땅 없어진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2 10:12:33      ·조회수 : 2,347     

<html>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5.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5.000pt;color:"#000000";font-weight:"bold";line-height:18.0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b>[사설]비상품 출하 감귤 설 땅 없어진다 </b></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font-weight:"bold";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제민일보 10/1 </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지난주말 신문에는 감귤관련 기사가 2건 나란히 실렸다. 하나는 불량감귤 출하에 따른 솜방망이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또 다른 하나는 제주도가 오는 10월23-27일 제주에서 열리는 한·미FTA 제4차 협상을 적극 활용, 감귤이 민감품목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nbsp;이와는 별도로 한미FTA저지를 위한 제주도 농축수산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협상단을 공항에서 봉쇄하는 등 강력한 저지 방침을 밝혔다. 우리는 제주도와 비대위의 기본적인 인식이 제주도의 생명산업인 감귤을 지키려는데 있다고 본다.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nbsp;이처럼 감귤을 어떻게하면 살릴수 있을것인가를 놓고 모두 발버둥치고 있는 가운데 올해도 비상품 감귤 출하 행위가 어김없이 적발됐다는 기사는 참으로 어처구니 없다. 200명의 대규모 단속반은 지난주 제주시 애월읍 용흥리 소재 모 감귤원에서 미숙과 출하현장을 덮쳤다. 이날 단속반은 20㎏들이 콘테이너 14상자를 싣고 도주하려던 트럭을 붙잡았다.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nbsp;단속반은 또 신제주교 인근 청과점에서 유통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한라봉 판매현장도 적발했다. 한라봉 6-11개들이 8상자에 대한 당도측정 결과 상품기준 12브릭스에 훨씬 못미치는 8.6브릭스에 불과했다.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nbsp;이 같은 불량감귤은 지난 2004년에는 450건, 지난해에는 400건이 적발된 바 있다. 도대체 언제까지 미숙감귤 강제착색, 불량감귤 유통행위, 비상품감귤 반출행위 등의 기사가 매년 반복돼야 하는지 모를 일이다.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SPAN>
</P>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t;margin-left:0.000pt;margin-right:0.000pt;margin-top:0.000pt;margin-bottom:0.000pt;'>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14.400pt;letter-spacing:0.000pt;text-align:justify;'>&nbsp;감귤유통업자들이 사상 처음으로 스스로 비상품감귤 출하안하기 결의대회를 가진 것이 엊그제인데 결국 도민과 소비자들을 우롱하는 겉치레 행사가 돼버렸다. 미꾸라지 같은 악덕상인과 농민들이 다시는 발붙이지 못하도록 강력한 처벌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감귤의 개방을 막기에 힘이 부친 판에 내부의 적을 막지 못하면 감귤은 설땅이 잃고 말 것이다. </SPAN>
</P>
</body>

</html>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39 올해 감귤값 오르려나... 노지감귤 43만 9000t 예상 기획정보과 2017-09-08 3669
1738 [기고]감귤산업이 나아갈 길 기획정보과 2017-07-17 3368
1737 감귤원 타이벡과 난방기 전량지원 기획정보과 2017-05-24 4741
1736 올해산 하우스감귤 "귤로장생' 첫 출하 기획정보과 2017-04-20 3911
1735 제주지역 3월 소비자물가 전년 동기 대비 전국서 가장 큰 폭상승 기획정보과 2017-04-05 3233
1734 감귤연합회 소비자 맞춤형 고품질 감귤생산 총력 기획정보과 2017-03-31 3157
1733 "오렌지 한국 수출 ↑ " 한미FT로 미 기업도 웃었다. 기획정보과 2017-03-16 3834
1732 농협유통, 국산 오렌지 "청견" 첫 출하 기획정보과 2017-03-16 3175
1731 서귀포시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7-03-10 2941
1730 전국 첫"당도19브릭스 제주 불로초 감귤 나왔다. 기획정보과 2017-02-20 3353
1729 [열린마당]'친환경귤'과'파치귤' 기획정보과 2016-12-05 4400
1728 [사설]맛좋은 올해 감귤 품질관리 출하조절로 승부 기획정보과 2016-12-05 3094
1727 올해 제주 노지감귤 "맛있다"...당산비 11.8 생산 49만9천톤 기획정보과 2016-12-02 3793
1726 [사설]12월1일 "감귤데이".. 감귤은 겨울철 1등 과일 기획정보과 2016-12-01 3507
1725 "FTA기금 감귤 현대화사업 신청하세요" 기획정보과 2016-11-21 3359
1724 가공용 감귤 수매가 단계적 인하 논란 기획정보과 2016-11-03 4269
1723 제주감귤의 가치 기획정보과 2016-11-01 3079
1722 감귤1차 관측조사, 상인들 포전거래 악용 사례 많다. 기획정보과 2016-10-31 3779
1721 감귤재배 우리나라 전 지역으로 확대 기획정보과 2016-10-31 3612
1720 감귤산업의 생존전략 기획정보과 2016-10-31 380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