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2:54      ·조회수 : 2,325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내달 본협상서 감귤류 양허제외 강구해야
제주일보 6/23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시 감귤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양국간 협상에 있어 농산물 양허수준이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다음달 예정된 한·미 FTA 2차 본협상부터 농산물에 대한 품목별 양허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대비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농산물 협상에서는 전체 협상 대상품목 중 개방 정도 수위를 가늠할 양국간 양허 수준이 정해질지 여부에 최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적인 FTA 협상 과정상 양국은 품목별로 양허 수준을 정하고 관세철폐 이행기간과 양허 제외 등의 양허 방식을 정하는 수순을 밟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서 양허 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관세 철폐 품목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한·칠레 FTA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농산물의 70%를 자유화했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66.7%를 양허 수준으로 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칠레 FTA에서는 쌀·사과·배 등 21개 품목이 양허 대상에서 제외돼 보호받았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도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이 양허 제외 품목으로 분류됐다.

정부는 한·미 FTA 협상에서 쌀 등 민감품목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는 입장이어서 양국간 양허 수준 향방에 따라 위기에 처한 감귤 향방도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은 쇠고기와 함께 감귤류 등 주요 과실 품목을 양허 대상에 포함시켜 관세 인하나 철폐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로볼때 한·미 FTA에 따른 감귤산업의 도미노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 민감품목과 함께 양허 제외 품목 지정을 동시에 요구하는 전략적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732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2968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382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754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375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508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621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702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348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202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374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471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455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403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640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3701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4047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151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3763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477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