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감귤 "사느냐 죽느냐" 기로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7 10:07:18      ·조회수 : 3,338     

제주감귤 "사느냐 죽느냐" 기로에
제주타임즈 6/27
오는 7월10일부터 재개되는 한.미 FTA 2차 본 협상을 앞둬 제주도내 감귤농가와 감귤관련 단체들이 좌불안석이다.
이번 협상에서 제주의 감귤류가 예외 품목으로 인정되지 않고 미국측의 관세 인하겷뗬?요구가 관철될 경우 제주의 감귤산업은 하루아침에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제주감귤산업 붕괴는 바로 제주농업경제의 파탄을 의미한다.
제주감귤은 우리나라 제1의 과일로서 제주전체 농민의 86%가 여기에 의존해서 생계를 꾸려나가고 있다.
또 소득규모로 본 감귤은 제주농업 총생산액의 51%를 점하고 있다. 제주관광산업과 더불어 제주경제를 지탱하는 버팀목이다.
만약 제주의 감귤류가 한ㆍ미 FTA 협상에서 예외품목이 되지 않을 경우 향후 10년간 감귤산업 피해액은 2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용역결과도 나왔다.
이렇게 될 경우 제주는 감귤뿐 아니라 농업전반이 초토화 될 수밖에 없다.
제주농민은 물론 도민사회 다수가 이번 FTA 한미 협정에서 감귤류의 예외 품목인정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26일 한겧?FTA 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에서 ‘제주감귤산업 수호를 위한 한ㆍ미 FTA 저지 10만명 서명운동’에 돌입한 것도 ‘제주감귤산업 붕괴는 제주의 경제 파탄’이라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온도민이 생존권을 건 감귤산업 수호 서명운동에 동참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오는 7월4일 제주에서 열리는 ‘한ㆍ미 FTA 와 제주감귤의 미러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에 감귤산업 관련 학계와 단체, 농민들은 물론 도민들도 비상한 관심을 갖고 정부관계자들에게 제주감귤의 절박성을 일깨우는데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753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3003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435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776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429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583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711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774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396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268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448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545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529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427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711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3767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4134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173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3793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484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