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1 10:43:56      ·조회수 : 3,480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고성보 제주대 교수, "오렌지 수입 피해 과일 사과에만 초첨" 주장
제민일보 8/10 현유섭 기자
농림부의 한미 FTA 체결에 따른 감귤 피해액 산출에 대해 연구자가 과수별 민감도를 자의적으로 판단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과수별 민감도는 관세인하에 따른 수입산 가격이 국내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를 말한다.
한미FTA의 감귤산업 영향분석 용역연구 책임을 맡은 고성보 제주대 교수는 10일 한미FTA 체결에 따른 감귤류 피해액의 계측상 차이가 발생한 이유 설명자료를 발표했다.
지난 4일 발표된 농림부가 발표한 한미 FTA체결에 따른 감귤 피해액 연간 676억∼930억원과 고성보 교수팀의 산출 피해액 2156억원이 큰 차이를 보인 것에 따른 것이다.
고 교수는 “피해액 규모추정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전체 시장규모 자료를 제주대 용역팀은 2004년 조수입 6105억원을 사용한데 반면 농림부의 연구결과는 2002∼2004년도 평균치로 피해액이 도출됐다”고 주장했다.
또 “농림부의 감귤 생산액 추산은 당해연도 생산량에 가격을 곱해 계산하는 방식으로 해걸이가 심한 감귤의 경우 적절치 못한 방법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었다.
고 교수는“과수별 민감도 수치가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자의적으로 크기를 정한 부분이 없지 않다”고 밝혔다.
농림부 연구팀이 사과는 시장개방에 따른 파급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이고 다음으로 감귤, 포도, 배, 복숭아 순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고 교수는 특히 “감귤의 과수별 민간도 수치를 사과 수준으로 조정하고 연 시장규모를 2004년을 기준으로 해 농림부가 사용한 추정 모형에 반영하면 제주대 용역팀 산출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또 “한미 FTA 체결에 따른 감귤 피해액 산출 결과의 차이가 시장규모 기준설정과 감귤과 사과의 민감도에 대한 시각차이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749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2999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425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775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416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562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671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767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389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241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429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532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517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426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707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3755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4133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170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3786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481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