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전통 농·축식품유통공사 설립 필요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5-03 08:58:16      ·조회수 : 2,590     

전통 농·축식품유통공사 설립 필요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법인 대표

최근 A방송사에서 방송한 제주 10대 대안산업 중 청정 유기농산업은 필자가 2001년부터 언론을 통해 주장해 온 전통농업과는 내용이 일부 다르지만 공감하는 바가 많았다.

제주 전통 농식품은 유기농 식품과는 가치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방송사에서 건강산업 기획 으로 방영 된 것으로 보인다. 제주 전통 농식품은 연간 매출액 5000억원 규모의 기업을 유치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것은 물론 이에 따른 지역경제 효과는 1차 산업 개념으로는 재단하거나 계량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제주 청정 경제 발전 모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제주올레가 체육기능 관광이라면 제주 전통농업은 체육 기능농업이 될 것이다. 시대와 시장 변화에 따른 차별화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백년대계를 위한 제도 마련과 함께 제도 운영을 위한 가칭 ‘제주 전통 농·식품 유통 공사’ 설립을 우근민 도정에게 주문한다. 이것이 농축식품국 직제 개편에 따른 정책 방향이고 향토산업을 육성하는 바른 길이 아닌가 싶다.

제주감귤이 고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이유는 건강한 환경과 토양이 건강한 과수를 키우고 건강한 과수가 건강한 과일을 만든다는 자연의 순리를 무시한 결과이다.

선거 때 절반의 정치행동만 있었어도 지금 약자(농민·서민)의 고통을 덜 수가 있었을 텐데 유감스럽다. 녹색 없는 녹색성장, 동행 없는 동반성장, 공평 없는 공정사회, 순환 없는 상생, 복리 없는 복지 정책 등이 난무하고 있다.

작고 아름다운 제주 전통 농촌 풍경과 전통 농식품 문화가 제주의 품격과 경관에 보탬이 될 텐데 관심 부족이 아쉽다. 제주 감귤산업이 실패가 두려워 변화에 도전하지 못하고 남의 길만 따라가면 제주 농업인은 감귤을 생산하고도 대자본의 유통 마케팅에 놀아나는 결과를 자초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704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2929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325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747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329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451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571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629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307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161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316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404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386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366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575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3641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3995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100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3750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472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