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후위기 속 역대급 제주감귤 피해 … 열매 5개 중 1개 떨어져

· 작성자 : 감귤부      ·작성일 : 2024-09-26 16:14:08      ·조회수 : 1,431     

기후위기 속 역대급 제주감귤 피해 … 열매 5개 중 1개 떨어져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4.09.26 11:17
  •  댓글 0

 
제주감귤, 열과 피해율 19.8% … 전년대비 2.4배 늘어
서부 지역 피해 극심 … 무더위와 가뭄 등 지속된 탓 분석
전체 감귤생산량과 가격 등에 적지않은 영향 미칠 것 예상
최근 제주시 조천읍의 한 감귤 과수원에서 확인된 감귤 피해, 가지에 매달려 있던 대부분의 감귤 열매가 떨어지고, 가지에 남은 열매 역시 껍질이 벌어지는 피해가 나타났다. /사진=독자제공.
최근 제주시 조천읍의 한 감귤 과수원에서 확인된 감귤 피해, 가지에 매달려 있던 대부분의 감귤 열매가 떨어지고, 가지에 남은 열매 역시 껍질이 벌어지는 피해가 나타났다. /사진=독자제공.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여름철 역대급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심각한 수준의 제주감귤 낙과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감귤 나무에 열린 열매 5개 중 1개가 떨어지는 수준으로, 전체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쳐 감귤 가격에 어떻게 반영될 것인지 주목된다. 

26일 제주도 및 제주도농업기술원 등에 따르면 최근 감귤 농가에서 익지 않은 감귤이 나무에서 떨어지거나, 껍질이 벌어지는 등의 열과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피해율은 9월21일 기준 19.8%. 나무에 매달린 열매 5개 중 1개가 피해를 입고 나무에서 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피해율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도 하다. 21일 기준 제주시 피해율은 13%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피해 수준이 적은 정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감귤의 주산지인 서귀포 지역은 피해율이 20.4%로 나타났고, 동부는 22.7%, 서부는 28.6%의 피해율을 보였다. 서부지역의 피해가 특히 심각한 수준으로 열매 4개 중 1개 이상이 피해를 입은 꼴이다. 

올해 피해율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 수준에 달한다. 지난해 감귤 피해는 9월26일 기준 8.2%로 집계됐었다. 올해는 피해가 이보다 2.4배 가량 더 큰 정도다. 

올해 감귤 피해가 이처럼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날씨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여름철 역대급이라고 할 수 있었던 무더위가 나타난 데다, 이 무더위가 이례적으로 9월 중하순까지 지속되면서 감귤이 이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특히 이 무더위 속에 8월 최악의 가뭄까지 겹친 것이 감귤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올해 8월 제주의 강수일수는 6일에 불과했다. 지난 30년 동안의 8월 평균 강수일수 13.2일인데, 올해는 이 30년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8월 한 달동안의 전체 강수량도 47㎜에 불과했다. 1942년 8월 13.2㎜ 이후 역대 두 번째로 적은 8월 강수량이었다. 

무더위 속에서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감귤 나무에 공급될 수분이 부족했고, 이는 감귤 열매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지 못하면서 감귤 열매가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그 와중에 9월 중 많은 비가 내리면서 이 수분을 흡수한 감귤열매가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고, 이미 가뭄의 영향으로 껍질 등이 약해진 상태에서 열매의 성장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찢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더해 고온과 가뭄을 지나오면서 약해진 열매들이 썩으면서 결국 나무에서 대량으로 떨어지는 상황까지 이어졌다. 

제주시 조천읍에서 감귤 농사를 짓는 A씨는 "나무에서 떨어지거나 껍질이 손상되는 감귤이 상당히 많은 수준"이라며 "무더위와 가뭄 등의 영향이 상당히 큰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감귤 생산량이나 감귤 가격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농업기술원 등에서 예측한 올해 감귤 전체 생산량은 40만8300톤이다. 하지만 A씨의 우려대로 최근 들어 피해가 커지고, 열매 5개 중 1개 꼴로 나무에서 떨어지면서 전체 생산량도 크게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업기술원 역시 최근 나타나고 있는 감귤 피해가 전체 생산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이번 피해로 인해 감귤의 전체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향후 감귤가격에도 어느 정도 영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가을 기상상황이 점차 나아지면서, 남아 있는 감귤의 당도나 산도 등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732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2967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371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753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374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507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620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691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347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201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370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459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441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401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636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3689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4044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147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3761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477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