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비파괴 광센서 선과기 도입, 감귤 품질경쟁력 강화해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8 13:34:45      ·조회수 : 2,484     

“비파괴 광센서 선과기 도입, 감귤 품질경쟁력 강화해야”
감귤 생산·유통혁신 세미나
한국농어민신문 5/8 김현철 기자

비파괴 광센서 도입이 감귤 품질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선결과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달 26일 제주감귤협의회(회장 강희철)와 제주대 산업응용경제학과(학과장 고성보)는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에서 도내 감귤농가, 농협, 학계,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파괴 광센서 도입과 감귤의 생산·유통 혁신’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권영길 일본 사이가 기술연구소 연구관의 주제 발표 이후 일본, 이탈리아 등 2개국 4개 업체의 비파괴 광센서 소개와 함께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권영길 박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감귤 고품질화를 위한 경쟁력은 외관 및 크기보다 당도와 산도 등 내부품질에 의한 품질등급화에 의해 결정된다”며 “이를 위해서는 감귤 속의 성분을 파악해 내는 비파괴 광센서 도입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난지농업연구소 최영훈 박사, 크린영농조합법인 송상순대표. ㈜통통 박지웅 대표 등 토론자들은 과일크기 등 외관중심에 따라 선과되는 드럼식 선과기에서 당도와 산도 등 내부품질 중시의 비파괴 광센서 도입으로 품질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주제발표 내용을 공감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감귤의 고품질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로 소비자들의 만족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내부품질에 의한 품질등급화가 시급하다는 것에 인식을 같이 하고 감귤의 선과과정에 비파괴 센서를 도입해 당도, 산도 등 내부품질 평가를 통해 소비자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감귤농장을 경영하는 고경휴씨는(남제주군 남원읍) “일본, 유럽 등과 같이 비파괴 광센서 도입으로 당·산도 위주의 품질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맛있는 감귤을 생산·유통하여 소비자 신뢰도를 높여 안정적인 소득원으로서의 감귤산업이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467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201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357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358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288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325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4092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4736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245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5027
1689 하우스감귤"불로초"본격출하..."맛의 품격이 달라요" 기획정보과 2016-05-17 3822
1688 제주"귤로장생"하우스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16-04-25 4721
1687 [기고]감귤혁신 5개년 계획에 대하여 기획정보과 2016-03-21 3896
1686 브랜드감귤 생산 성목 옮겨심기 속도 기획정보과 2016-03-17 4335
1685 제주시,FTA기금 118억 투입 하우스 설치 지원 기획정보과 2016-03-10 4079
1684 [시론]기후변화와 귤림추색 기획정보과 2016-03-07 4387
1683 2015년산 노지감귤 상품 출하 30만톤 못미쳐 기획정보과 2016-03-07 4267
1682 26년 만에 감귤나무 고사... 한파 후유증 심각 기획정보과 2016-03-07 4357
1681 한파,폭설 감귤나무 동상해 피해 신고 기간 연장 기획정보과 2016-03-07 4055
1680 산지폐기로 색달매립장 반입 폐감귤 감소 기획정보과 2016-03-07 457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