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FTA 파고’ 불안 고조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2 10:25:28      ·조회수 : 2,007     

‘FTA 파고’ 불안 고조
감귤 1차산업…농어민 목소리 대변 후보 찍을 것
제주일보 5/12 송경훈 기자
생활이 어려운 것은 도시와 농촌이 다를 리 없지만 지방선거를 20일 앞둔 11일 서귀포시와 남제주군 지역에서 만난 주민들의 지방선거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지역경제가 지속적으로 어려운 현실과는 아랑곳없이 후보들마다 쏟아내는 장밋빛 청사진에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감귤농 김규철씨(56)은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면 감귤산업에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는데, 이에 대한 후보들의 대응책 제시가 부족한 것 같다”며 “정당보다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하는 후보에 표를 던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씨는 도정을 맡겠다는 도지사 예비후보나 도의원 예비후보들의 1차산업 회생 의지에 대해서는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비례대표 투표는 농어민의 목소리를 적극 대변하는 정당에 투표하겠다고 덧붙였다.

며칠간 궂은 날씨가 이어지다 갠 틈을 이용해 농약을 치던 김순평씨(81) 부부는 “오랫동안 선거를 경험했지만 이번 선거같은 경우는 처음이다. 정치는 ‘신뢰’가 바탕이 돼야 한다”며 최근의 혼란스러운 사태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끝내 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한 한 주민은 도의원 예비후보들이 제시하는 공약은 믿지 않는다며 예비후보들의 반성을 주문하고, 이들에게 관심을 갖지 않는 언론에도 화살을 돌렸다.

“농촌지역 예비후보들은 저마다 1·3차 산업을 연계해 발전시키겠다는데,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 모르겠어. 도로변에 늘어선 농산물 직판장 몇 개 더 만들고 말거냐”며 목소리에 힘을 줬다.

‘참공약 선택하기(매니페스토)’ 캠페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인지, 만나는 유권자들마다 실현 가능성이 모호한 공약들에 대해서는 거침없는 비난이 쏟아졌다.

한라봉 선과작업을 하던 고승희씨(40)의 바람은 소박하지만 절실했다.

“이렇게 정성스러운 손길을 거쳐 출하되는 과일이 좋은 값을 받을 수 있으면 농민들이야 행복하지 않겠어요?”

이처럼 표현은 달랐지만 이들의 한결같은 관심도 결국은 ‘경제’로 귀결됐다.

또 이날 만난 유권자들은 전국에서 처음 치러지는 교육의원 선거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만 이들의 역할이나 제시하는 공약에 대해서는 관심이 가지 않는다고 솔직한 심정을 드러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467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201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357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358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288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325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4092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4736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245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5027
1689 하우스감귤"불로초"본격출하..."맛의 품격이 달라요" 기획정보과 2016-05-17 3822
1688 제주"귤로장생"하우스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16-04-25 4721
1687 [기고]감귤혁신 5개년 계획에 대하여 기획정보과 2016-03-21 3896
1686 브랜드감귤 생산 성목 옮겨심기 속도 기획정보과 2016-03-17 4335
1685 제주시,FTA기금 118억 투입 하우스 설치 지원 기획정보과 2016-03-10 4079
1684 [시론]기후변화와 귤림추색 기획정보과 2016-03-07 4387
1683 2015년산 노지감귤 상품 출하 30만톤 못미쳐 기획정보과 2016-03-07 4267
1682 26년 만에 감귤나무 고사... 한파 후유증 심각 기획정보과 2016-03-07 4357
1681 한파,폭설 감귤나무 동상해 피해 신고 기간 연장 기획정보과 2016-03-07 4055
1680 산지폐기로 색달매립장 반입 폐감귤 감소 기획정보과 2016-03-07 457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