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감귤 "사느냐 죽느냐" 기로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7 10:07:18      ·조회수 : 3,336     

제주감귤 "사느냐 죽느냐" 기로에
제주타임즈 6/27
오는 7월10일부터 재개되는 한.미 FTA 2차 본 협상을 앞둬 제주도내 감귤농가와 감귤관련 단체들이 좌불안석이다.
이번 협상에서 제주의 감귤류가 예외 품목으로 인정되지 않고 미국측의 관세 인하겷뗬?요구가 관철될 경우 제주의 감귤산업은 하루아침에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제주감귤산업 붕괴는 바로 제주농업경제의 파탄을 의미한다.
제주감귤은 우리나라 제1의 과일로서 제주전체 농민의 86%가 여기에 의존해서 생계를 꾸려나가고 있다.
또 소득규모로 본 감귤은 제주농업 총생산액의 51%를 점하고 있다. 제주관광산업과 더불어 제주경제를 지탱하는 버팀목이다.
만약 제주의 감귤류가 한ㆍ미 FTA 협상에서 예외품목이 되지 않을 경우 향후 10년간 감귤산업 피해액은 2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용역결과도 나왔다.
이렇게 될 경우 제주는 감귤뿐 아니라 농업전반이 초토화 될 수밖에 없다.
제주농민은 물론 도민사회 다수가 이번 FTA 한미 협정에서 감귤류의 예외 품목인정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26일 한겧?FTA 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에서 ‘제주감귤산업 수호를 위한 한ㆍ미 FTA 저지 10만명 서명운동’에 돌입한 것도 ‘제주감귤산업 붕괴는 제주의 경제 파탄’이라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온도민이 생존권을 건 감귤산업 수호 서명운동에 동참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오는 7월4일 제주에서 열리는 ‘한ㆍ미 FTA 와 제주감귤의 미러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에 감귤산업 관련 학계와 단체, 농민들은 물론 도민들도 비상한 관심을 갖고 정부관계자들에게 제주감귤의 절박성을 일깨우는데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507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333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484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494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420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430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4223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4827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377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5153
1689 하우스감귤"불로초"본격출하..."맛의 품격이 달라요" 기획정보과 2016-05-17 3971
1688 제주"귤로장생"하우스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16-04-25 4828
1687 [기고]감귤혁신 5개년 계획에 대하여 기획정보과 2016-03-21 4002
1686 브랜드감귤 생산 성목 옮겨심기 속도 기획정보과 2016-03-17 4404
1685 제주시,FTA기금 118억 투입 하우스 설치 지원 기획정보과 2016-03-10 4191
1684 [시론]기후변화와 귤림추색 기획정보과 2016-03-07 4513
1683 2015년산 노지감귤 상품 출하 30만톤 못미쳐 기획정보과 2016-03-07 4340
1682 26년 만에 감귤나무 고사... 한파 후유증 심각 기획정보과 2016-03-07 4483
1681 한파,폭설 감귤나무 동상해 피해 신고 기간 연장 기획정보과 2016-03-07 4185
1680 산지폐기로 색달매립장 반입 폐감귤 감소 기획정보과 2016-03-07 469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