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감귤 첫 출하가 낳은 정책부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8 10:19:07      ·조회수 : 2,891     

<p></p>
<b><font size="5">[사설]감귤 첫 출하가 낳은 정책부실 </b></font>
<p></p>
<font size="3">제민일보 10/17

노지감귤의 과일시장 경쟁이 시작됐다. 그끄제 1744t을 경매시장에 첫 출하시켜 시

장반응을 지켜보고 있다. 경매가는 10kg당 최고 2만2000원·최저 4000원으로 평균 1

만2300원선을 유지했지만 감귤농가의 반응은 일단 유보적이다.

냉정하게 말해 첫 가격형성은 다소 불안한 출발이다. 농가들 역시 모르지 않은 터라

긴장감을 떨치지 못하는 눈치다. 재작년보다 나은 편이라지만 작년과 비교할 때 경

매가와 농가수취가 모두 감소한 출발가격은 분명히 우려되는 일이다.

경매시장의 가격형성 평가는 우리가 잘 소화해야할 대목이다. 우선 출하량이 한 두

해전에 비해 100배에 달할 만큼 과잉현상을 보인 것은 놀랍다. 일부 저품질까지 섞

여 가격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보다 철저한 유통관리없이는 감귤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도정당국은 첫 출하량을 감안할 때 비교적 괜찮은 가격으로 분석하고 있다. 긴장감

을 뒤로한 채 앞으로 호전될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모양이다. 비관하지 않고 기대감

을 갖는 것을 나무라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첫 출하물량의 과잉현상은 유통관리측면에서 지적받아 마땅하다. 첫 출하가

격 형성이 한해 감귤값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과잉출하는 정책적 부실로 간주해

야한다. 어정쩡하게 넘기며 말장난할 것은 못된다.

감귤전망에 불안요인이 있으면 따지고 개선하는 게 급선무다. 감귤유통명령제가 높

은 가격을 가져다주는 도깨비방망이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전국 어디서나 불량감귤

을 단속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는 것이지 가격형성 주요인으로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감귤가격 형성은 얼마나 노력하느냐에 달려있다. 자기이익만 노리는 얌체족들이 판

친다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게 뻔하다. 농가의 생산관리·유통업자 품질관리·행정

의 지도감독, 3박자가 맞아떨어져야 올해 감귤농사에 웃음꽃이 필 수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503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297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472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470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394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405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4202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4824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360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5121
1689 하우스감귤"불로초"본격출하..."맛의 품격이 달라요" 기획정보과 2016-05-17 3928
1688 제주"귤로장생"하우스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16-04-25 4811
1687 [기고]감귤혁신 5개년 계획에 대하여 기획정보과 2016-03-21 3980
1686 브랜드감귤 생산 성목 옮겨심기 속도 기획정보과 2016-03-17 4398
1685 제주시,FTA기금 118억 투입 하우스 설치 지원 기획정보과 2016-03-10 4163
1684 [시론]기후변화와 귤림추색 기획정보과 2016-03-07 4497
1683 2015년산 노지감귤 상품 출하 30만톤 못미쳐 기획정보과 2016-03-07 4325
1682 26년 만에 감귤나무 고사... 한파 후유증 심각 기획정보과 2016-03-07 4459
1681 한파,폭설 감귤나무 동상해 피해 신고 기간 연장 기획정보과 2016-03-07 4164
1680 산지폐기로 색달매립장 반입 폐감귤 감소 기획정보과 2016-03-07 465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