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청정 제주 외래병해충 유입‘비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05 14:54:38      ·조회수 : 2,540     

<p></p>
<b><font size="5">청정 제주 외래병해충 유입‘비상’ </b></font>

<font size="4" color="blue">지난해 1만여 건 식물 반입…과일·묘목 등 폐기</font>

<font size="3">제주일보 1/5 신정익 기자

청정 농업환경을 자랑하는 제주지역이 외래병해충 유입 위험에 크게 노출되는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

4일 국립식물검역소 제주지소(지소장 강익범)에 따르면 지난해 한해 동안 제주국제

공항을 통해 여행객들이 휴대 반입한 식물류는 1만 1472건으로 전년 8328건에 비해

3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휴대 식물류 반입이 크게 증가한 것은 제주공항을 통해 입국한 해외여행객

이 46만 4000명으로 전년 30만 7000명에 비해 51%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

다.

식검 제주지소는 이 가운데 국내반입이 금지된 외국산 과일류 등 1098건, 1511㎏과

묘목류 1600개에 대해 폐기·반송 처분했다고 밝혔다.

특히 폐기·반송 조치된 식물류는 해외병해충·잡초 종자 등이 발견된 것과 금지품 등

으로써 전년 752건에 비해 무려 4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폐기·반송된 식물 대부분은 감귤을 비롯해 사과, 배 및 과일류와 흙이 부착

된 묘목류 등으로, 이 같은 식물류에 외래병해충이 함께 유입될 경우 온난한 아열대

성 기후를 가진 제주지방에 정착될 가능성이 높아 청정 제주 자연환경과 농작물 등

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우려가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산이 808건(1094㎏)으로 전체의 73.6%를 차지해 가장 많은 것으

로 집계됐으며, 다음으로 일본 163건(248㎏, 묘목류 100개), 대만 127건(169㎏, 묘

목 1500개) 등의 순이다.

이와관련, 식검 제주지소 관계자는 “청정 제주의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해서는 외래

병해충 유입 우려가 높은 과일류와 채소류 등의 반입을 자제해야 한다”면서 “부득

이 이 같은 식물류를 휴대반입할 경우 식물검역소에 신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486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255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406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422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345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367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4130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4803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301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5078
1689 하우스감귤"불로초"본격출하..."맛의 품격이 달라요" 기획정보과 2016-05-17 3876
1688 제주"귤로장생"하우스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16-04-25 4769
1687 [기고]감귤혁신 5개년 계획에 대하여 기획정보과 2016-03-21 3954
1686 브랜드감귤 생산 성목 옮겨심기 속도 기획정보과 2016-03-17 4377
1685 제주시,FTA기금 118억 투입 하우스 설치 지원 기획정보과 2016-03-10 4119
1684 [시론]기후변화와 귤림추색 기획정보과 2016-03-07 4436
1683 2015년산 노지감귤 상품 출하 30만톤 못미쳐 기획정보과 2016-03-07 4295
1682 26년 만에 감귤나무 고사... 한파 후유증 심각 기획정보과 2016-03-07 4404
1681 한파,폭설 감귤나무 동상해 피해 신고 기간 연장 기획정보과 2016-03-07 4104
1680 산지폐기로 색달매립장 반입 폐감귤 감소 기획정보과 2016-03-07 460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