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소비량 가구당 연 222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6 09:56:28      ·조회수 : 3,937     

감귤소비량 가구당 연 222개

농수산물유통공사‘주부 대상 주요 과일 소비행태’분석(상) (제주일보 4/25 신정익 기자)

제주산 감귤 소비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적정 생산량에 대한 정확한 산출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소포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출하과정에서 소포장 비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농수산물유통공사가 지난해 10∼11월 서울을 비롯해 6대 광역시와 3개 도청소재지에 거주하는 주부 1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과일류 소비실태와 소비 경향을 조사한 결과, 가구당 연간 감귤소비량은 221.6개로 나타나 3년 전인 2002년 조사 당시 390.7개에 비해 43.3%나 감소했다.
다른 경쟁과일의 연간 소비량을 보면 사과 100.8개, 배 26.7개, 복숭아 32.5개, 포도 45.4송이, 단감 46.1개, 자두 36.3개, 참다래 24.7개 등으로 집계됐다.
또 수입과일은 오렌지가 43.2개, 바나나 10.3손, 파인애플 1.87개 등으로 나타났다.

▲ 감귤 소비행태 = 권역별로 가구당 연간 소비량을 보면 수도권(197.2개)에 비해 지방광역시(252.3개)와 중소도시(222.6개)에서 소비량이 많았다. 또 30대 주부 가정과 연소득 2000만∼3000만원 수준의 중간소득층에서 감귤 선호도가 높았다.
이와 함께 소비자들은 낱개(22.6%)와 5㎏ 상자단위(22.4 %)로 구입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며, 3㎏(19.9%)와 그물망(1㎏.18.8%), 10㎏ 상자(16.3%) 등이 뒤를 이었다.
감귤은 11∼2월 겨울에 집중되면서 20개 이상씩 월 5회 이상 구입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선호품종과 브랜드 인지도=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감귤 품종은 한라봉으로 나타났다.
한라봉 선호도 42.0%로 3년 전인 2002년 25.7%에 비해 16.3%포인트 증가했다. 다음으로온주밀감(27.9%), 금감(20.7%), 청견(4.0%) 등이다. 온주밀감과 청견은 선호도가 다소 증가했으나 금감은 감소했다. 20∼30대 젊은 주부와 중산층에서
한라봉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감귤에 대한 생산지 인지도는 94.5%로 매우 높았으나 브랜드 인지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체품목으로서의 감귤은=소비자들은 오렌지 등 수입과일을 대체할 국산과일로 감귤을 가장 많이 꼽았다.
오렌지의 대체과일로는 감귤이 58.2%로 사과(19.1%), 배(7.9%)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파인애플의 대체과일로도 감귤(19.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레몬과 자몽의 대체과일로도 감귤이 각각 26.0%, 16.5%로 1위로 꼽았다. 바나나의 대체 과일 1순위로는 사과(21.2%), 배(18.1%), 감귤(11.9%) 등으로 조사됐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79 나무에 달린 썩은 감귤을 보면 올해 농사도 캄캄합니다. 기획정보과 2016-03-07 3860
1678 소비자 입맛 못따르는 감귤상품 기준 기획정보과 2016-03-07 3915
1677 박근혜 정부 3년,,, 감귤명품화 지지부진 기획정보과 2016-02-26 3026
1676 제주 재래감귤의 가치에 주목하라 기획정보과 2016-02-18 4088
1675 비타민의 보고, 감귤,,,, 최고의 종합감기약 기획정보과 2015-12-10 3899
1674 [사설]감귤데이 국민적 관심의 날로 발전시켜야 기획정보과 2015-12-02 4466
1673 올해 노지감귤 생산 52만9000톤 내외 예상 기획정보과 2015-11-26 4427
1672 농협제주본부,감귤연합회, 서울서 감귤홍보관 운영 호응 기획정보과 2015-11-25 4361
1671 12월1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감귤데이 선포식 기획정보과 2015-11-25 3994
1670 감귤통합브랜드 "귤로장생"출발 좋다. 기획정보과 2015-11-10 3419
1669 감귤 미국 수출 시작... 12월까지 800톤 목표 기획정보과 2015-11-04 3942
1668 제주시,비상품감귤 유통지도단속 강화 기획정보과 2015-11-04 3759
1667 [기고]본격적인 감귤 수확청을 맞이하여 기획정보과 2015-10-27 4036
1666 생명산업 감귤 정책 추진 미흡 기획정보과 2015-10-27 3491
1665 제주농협 우수감귤 경연대회 실시 기획정보과 2015-10-27 4039
1664 [기고]구슬을 잘 꿰어 제주감귤 재도약 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10-27 3926
1663 올해산 감귤 5000톤 수출나선다 기획정보과 2015-10-26 4006
1662 [기고]제주감귤 원흉, 제로화가 최우선 기획정보과 2015-10-26 4547
1661 상인·영농법인 감귤 제값받기 외면 기획정보과 2015-10-26 3403
1660 계통 작목반에 전담직원배치 기획정보과 2015-10-26 381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