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수급사업 참여농가 급증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05 10:14:37      ·조회수 : 3,009     

감귤 수급사업 참여농가 급증
마감결과 5만4천8백톤 4백39억원 계약
한라일보 7/5 고대용 기자
판매가격 계약가보다 하락시 손실보전

 감귤 수급안정사업에 참여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제주농협본부에 따르면 올해산 노지감귤 수급안정(계약출하)사업 대농가 약정을 마감한 결과 신청물량 5만2천7백18톤의 104%인 5만4천8백89톤이 계약체결됐다. 또 약정농가에 지급되는 계약자금도 지난해 3백30억원보다 1백9억원이 증가한 4백39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대비 농가수와 사업물량이 각각 3백5농가, 7천9백48톤이 증가한 것이다. 올해산 노지감귤 계약단가는 kg당 8백원(관당 3천원)으로 지난해 7백2원에 비해 14% 늘어나 상당부분 가격 현실화가 이뤄졌다.

 수급안정사업 자금은 매년 3∼4월에 각 조합을 통해 농가들로부터 신청을 받아 5∼6월 2개월 동안 농가와 조합이 출하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계약금액의 10∼50%에 해당하는 자금을 다음해 4∼5월까지 무이자로 지원하고 있다.

 계약농가는 농협을 통해 계약물량을 출하해야 한다. 미이행시는 위약금을 부담해야 하지만 감귤 판매가격이 계약단가의 90% 미만으로 하락할 때에는 사전에 협의한 손실배분비율(농협 50%, 농가 50%)로 각 조합별 조성된 감귤 손실보전자금 범위내에서 가격차 보전을 받을 수 있다. 과수농가의 경영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수급안정제도로서 정부의 농안기금 80%, 농협자금 20% 비율로 출연하여 실시되는 사업이다.

 과실수급안정사업 참여 조합에 대해서는 계약자금 이외에 총사업자금의 30%를 운영자금으로 지원한다. 또 자금운용에 따른 수익은 감귤 유통손실보전자금으로 각 조합에서 적립한 후 가격하락시 계약농가 손실보전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된다. 한편 6월말 현재 감귤유통손실보전자금은 37억원이 적립돼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59 감귤나무, "나이"별 생산량과 가치는 얼마? 기획정보과 2015-10-26 3760
1658 소식재배과원 밀감나무 경제가치 높아 기획정보과 2015-10-26 3514
1657 비상품 감귤 여전 "아직도 딴 생각?" 기획정보과 2015-10-19 3695
1656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앞장 기획정보과 2015-10-19 4201
1655 감귤 원산지 거짓표시 집중 단속 기획정보과 2015-10-14 3818
1654 우리 몸을 이롭게 하는 감귤의 비밀 기획정보과 2015-10-14 3735
1653 비상품감귤위험수위... 경락가격 "뚝" 기획정보과 2015-10-14 4758
1652 [사설]추석민심 정확한 진다 속에 해결책 찾아야.. 기획정보과 2015-10-01 4072
1651 [사설]유통전문가들 노지감귤 출하 앞둬 쓴소리 기획정보과 2015-09-30 4300
1650 비상품 감귤 유통 선과장 제재 강화 기획정보과 2015-09-30 4023
1649 가을 햇감귤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15-09-30 3649
1648 비상품감귤 유통 선과장 "퇴출"... 조례 10월6일 시행 기획정보과 2015-09-25 3456
1647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총력 기획정보과 2015-09-24 3458
1646 고품질 감귤 개발 약속해놓고 1건도 성과 못내 기획정보과 2015-09-23 3786
1645 [사설]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연한 의지 촉구 기획정보과 2015-09-23 3870
1644 "끝물" 하우스감귤 가격 호조세 유지 기획정보과 2015-09-22 4085
1643 세계속의 명품 감귤이 곧 제주의 미래.. 기획정보과 2015-09-21 3541
1642 제주의 미래, 세계속 명품 감귤로, 기획정보과 2015-09-21 3286
1641 경기도,수도권 주민이 가장 많이 사는 과일은? 기획정보과 2015-09-16 4248
1640 채소 비닐하우스에 감귤 재배 속출 기획정보과 2015-09-16 413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