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9 09:54:21      ·조회수 : 3,257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제주일보 8/8
제주특별자치도 감귤농정의 행태가 갈수록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이는 왁스코팅 처리를 한 감귤출하규제 정책이 허공에 뜨면서 비롯된다.

도 조례상 감귤 왁스규제는 지난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기로 명문화됐다. 하지만 당국은 이 눈치 저 눈치를 보면서 여태 명확한 입장 표명조차 없다. 참으로 한심스럽다.

현행 감귤의 왁스코팅 체계는 물로 세척 후 선과하는 과정에서 화염 열풍건조를 거친다. 이로 인해 미관상 뛰어나 보이나 운송도중 부패되는 사례 등이 잇따르고 있다.

결국 제주도와 도의회는 고품질 보장을 위해 2004년 7월 감귤유통조례를 개정, 왁스코팅 감귤의 국내출하를 금지하되 선과기 개선을 위해 2년간 그 시행을 유보했던 것이다.

따라서 당국은 지난 7월부터 본격적인 단속에 들어가야 했다. 하지만 생산농가 등의 반발이 거세지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농협 조합장들로 구성된 제주감귤협의회조차 “왁스코팅 감귤은 좋은 값을 받고 있고 부패율 또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농가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특히 현행 선과기 체계로는 왁스코팅이 불가피하다며 이의 규제를 강력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과일의 무한경쟁시대에 청정 제주감귤의 생존전략이 아니다. 수입산 오렌지와의 차별화를 위해서도 그렇다.

이에 (사)한국농업경영인 제주도연합회는 7일 성명을 내고 “왁스코팅은 ‘자연 그대로’라는 청정 이미지를 훼손시켜 궁극적으론 제주감귤에 막대한 상처를 입힌다”고 주장했다.

왁스코팅 자체는 겉보기에만 좋게 하려는 것일 뿐으로, 오히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질 경우 웰빙시대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할 위험성이 크다는 얘기다. 옳은 지적이다.

지금은 제주감귤의 미래를 위해 ‘환골탈퇴’와 같은 사고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눈앞의 좋은 값에만 집착하는 근시안적인 사고는 제주감귤의 추락을 앞당길 뿐이다. 그러다보니 오는 10월 중순께부터 올해산 노지감귤의 본격 출하를 앞두고 있다. 당국은 더 이상 조례시행을 미뤄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생산자 단체가 도의회에 조례 시행유보를 건의해 주기를 내심 바란다니 아직도 정신 못 차렸다.

오히려 불신만 재촉하는 감귤농정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19 눈앞 성과만 집착...감귤산업 발전 발목 기획정보과 2015-08-27 4295
1618 감귤보내기 등 대북사업 진전 기대 기획정보과 2015-08-26 3693
1617 고품질 감귤 생산 위해 "한마음 한뜻" 기획정보과 2015-08-25 4274
1616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직수출 재개 기획정보과 2015-08-24 3626
1615 [기고]감귤열매솎기 꼭 실천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08-19 4031
1614 [백록담]국내 시장여건 미반영 감귤혁신 정책 성공할까 기획정보과 2015-08-10 4599
1613 비상품 감귤 제로, 농업인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5-08-07 4362
1612 감귤혁신안 세부실행 구체성 부족 기획정보과 2015-08-06 3616
1611 열린마당-고품질감귤,감미비를 맞춰라 기획정보과 2015-08-05 4401
1610 적정 생산량 하향.고품질화 추진 기획정보과 2015-08-04 3791
1609 사설-통합브랜드"귤로장생'이후가 중요하다 기획정보과 2015-08-04 4281
1608 통합감귤 브랜드 "귤로장생" 기획정보과 2015-08-03 4575
1607 기고-감귤 열매솎기 꼭 실천 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07-29 6571
1606 제주 감귤밭서 파티 즐겨볼까..."농업"과 "예술" 눈맞다 기획정보과 2015-07-29 3886
1605 제주감귤정책 안정적 정착 마케팅 전개 기획정보과 2015-07-27 4428
1604 제주농협, 감귤 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5-07-27 3605
1603 사설-감귤정책 제고 농가 공감대속 올인해야 기획정보과 2015-07-24 3720
1602 위기의 제주감귤, 전문가 양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5-07-22 4093
1601 감귤 구조혁신,농민들의 주도적인 의견과 실천의지가 중요 기획정보과 2015-07-22 3141
1600 제주형 감귤 신품종 재배면적 374ha...1.8%불과 기획정보과 2015-07-22 327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