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부피과’수출감귤 클레임 주원인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9 10:05:47      ·조회수 : 2,989     

‘부피과’수출감귤 클레임 주원인
농촌진흥청 분석…대과위주 수출과정서 발생
제주일보 5/9 신정익 기자
제주산 수출감귤에 대해 발생하는 클레임은 부피과 발생 등의 원인이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성방욱 연구원은 최근 최근 ‘수출농업의 기술적 애로 및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농산물 수출클레임 발생 유형과 대응’에 대해 발표하고 감귤 등 국내과일 가운데 수출 과정에서 발생한 총 20건의 클레임중 품질불량, 계약규격 내용상이, 수량 과부족 등의 상품클레임이 전체의 70%로 가장 많았으며 운송 및 선적, 포장 관련 클레임이 그 뒤를 이었다고 밝혔다.

성 연구원은 주요 수출업체와 국립식물검역소 등을 대상으로 조사해 분석한 품목별 클레임의 주요인에 따르면 감귤의 경우 대과위주로 수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피과(puppy)가 상당부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성 연구원은 수출전 장기간 저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피과로 인해 발생하는 클레임을 감안해 감귤수출업체들은 당초 계약물량보다 5% 이상 선적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동남아 지역으로 수출되는 제주산 감귤 가운데는 신맛이 강해 클레임이 발생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밝혔다.

성방욱 연구원은 “농산물의 특성상 클레임 발생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출농가 및 업체간 클레임 대처에 대한 정보 공유가 부족했다”면서 “수입국의 안전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잔류농약에 대한 클레임 발생 가능성도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38 [카드뉴스]창립 1주년을 맞아 재래시장·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전개 총무기획부 2025-04-25 903
2137 [기고]농산물 수급안정의 시작,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총무기획부 2025-04-25 577
2136 재래시장 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총무기획부 2025-04-24 521
2135 제주 월간 무역수지 16년 4개월 만에 흑자 총무기획부 2025-04-22 842
2134 '미국산 공세에'...직격탄 맞은 제주도 만감류 시장 초비상 총무기획부 2025-04-22 791
2133 선별 · 저장 기술 현장 적용 확대로 '농산물 수급 안정' 총무기획부 2025-04-21 525
2132 2025년 제주 조생양파 소비지 판촉행사 참여 총무기획부 2025-04-21 937
2131 전직원 수입안정보장보험 관련 교육 수강 총무기획부 2025-04-18 739
2130 제주조공, 센터 방문하여 감귤 수급안정지원사업 논의 총무기획부 2025-04-15 879
2129 제주농협, 올해산 조생양파 280억 판매 목표 통합마케팅 추진 총무기획부 2025-04-14 395
2128 조천농협, 산불 피해 지역 '천혜향' 지원 총무기획부 2025-04-08 525
2127 "저관세 수입양파에 농가 고통 가중" 총무기획부 2025-04-08 600
2126 2025년 제주특별자치도 농정발전협의회 제1차 회의 총무기획부 2025-04-04 528
2125 제주행복만감, 또 왔수다 총무기획부 2025-04-04 535
2124 "맛있고 건강에도 좋은 조생양파가 왔어요!"...대정농협, 조생양파 본격 출하 총무기획부 2025-04-01 555
2123 제주농협, 만감류 소비 촉진 '총력' 총무기획부 2025-03-28 507
2122 [카드뉴스]여성농업인 위상과 권익 향상(맞춤형 정책 확대 실시) 총무기획부 2025-03-27 612
2121 한농연제주·오영훈 제주도지사"지속가능한 제주농업 발전 함께" 총무기획부 2025-03-27 569
2120 원예농산물 선제적 수급관리를 위한 주산지 전문인력양성과정 교육 참여 총무기획부 2025-03-27 510
2119 제주시장님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방문 총무기획부 2025-03-21 55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