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와 감귤산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24 13:20:11      ·조회수 : 3,161     

<p></p>
<font size="5">한미FTA와 감귤산업</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24 허인옥 제주대 명예교수

현재 제주에서 개최되는 한미FTA 제4차 회의는 한미 자유무역 협상에 새로운 지평

을 여는 계기임과 동시에 제주지역 감귤산업에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제3차 협상까지는 방향과 원칙을 설정했다면 4차회의는 한미 양국이 품목별 양허안

을 교환하여 구체적으로 협상안을 마련하는 회의이기 때문이다. 한편 감귤산업인 경

우 감귤주산지인 제주에서 협상을 하게 됨에 따라 현재 감귤산업이 처한 실상을 소

상히 알림으로써 감귤산업에는 기회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협상안이 공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를 예단하기는 쉽지 않으

나 현재까지 미국측이 주장하는 예외없는 개방안과 1993년 UR협정시 경험으로 볼

때 특단의 조치가 없는 한 제주지역 감귤산업은 위기라 하겠다.

다행히 FTA는 양국 간에 필요에 의해서 협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자간협상인 UR

보다는 유연하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되나 여기에도 함정이 있다.

지난 협상때 섬유를 양보하는 대신 농산물 수입확대를 요구하였는가 하면 같은 감귤

류 중에도 생과에 9가지 품목이 있고 오렌지주스 등 가공품에 8개 품목이 있는데 같

은 생과에서도 탄제린이나 만다린 등을 고율관세를 유지시키면서도 오렌지나 그제

프후룻쓰는 저율관세, 혹은 완전 개방을 요구할 수도 있다. 특히 오렌지주스는 외형

상 민감도가 낮다는 이유로 완전 개방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하겠다.

더구나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이 현재도 오렌지나 농축액은 쌀이나 쇠고기보다

실리가 크며 오렌지 단일품목으로는 일본보다도 많은 연간 15만t이 수입되고 있으

며 농축액은 5만 내외로 생과로 환산하면 50만에 해당하므로 품목 간 개방방안, 특

히 오렌지주스는 생과보다 먼저 개방을 요구할 것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긴박하게 추진되는 제4차 제주회의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실례를 들면 제주지역 감귤산업은 외형적으로는 크게 보면 구조적으로 보면 평균 호

당 재배규모가 0.7㏊로 소규모 영세적 경영규모이고 또한 전체농가의 90%가 감귤업

에 위존하고 있으며, 또한 지역산업구조의 특성상 다른 업종으로 전업할 수 없는 특

성과 1993년 UR협정이후 1997년에 오렌지주스가 자유화되어 1998년이후 현재까지

회생하지 못하고 있는 현지에 실정을 진솔하게 협상대표들에게 알리는 일이 중요한

과제라 하겠다.

그러나 앞으로 전개될 한.미 FTA는 물론 DDA에 의한 다자간 협상 및 한일과 한중

FTA도 추진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제주지역 감귤산업은 근본적인 관점에서 검토

되어야 할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제주지역이 지닌 잠재력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

여 새로운 방향과 설정과 앞으로 경쟁해야 될 상대국가의 생산, 유통, 교역 및 정책

등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서 경쟁방아능ㄹ 마련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제주에서 개최되는 제4차 회의를 최대한 활용하여 감귤산업의 실상을 올바

로 알리는 기회로 활용하며 생존을 위해서 시위나 주장할 권리가 있으므로 이는 보

장되어야 할 것이나 과격한 시위나 폭력은 얻는 것보다 잃을 것이 많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인식할 필요가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39 제주산 브로콜리 포장 개선···해상운송에도 '싱싱' 총무기획부 2025-04-29 504
2138 [카드뉴스]창립 1주년을 맞아 재래시장·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전개 총무기획부 2025-04-25 909
2137 [기고]농산물 수급안정의 시작,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총무기획부 2025-04-25 609
2136 재래시장 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총무기획부 2025-04-24 521
2135 제주 월간 무역수지 16년 4개월 만에 흑자 총무기획부 2025-04-22 855
2134 '미국산 공세에'...직격탄 맞은 제주도 만감류 시장 초비상 총무기획부 2025-04-22 840
2133 선별 · 저장 기술 현장 적용 확대로 '농산물 수급 안정' 총무기획부 2025-04-21 545
2132 2025년 제주 조생양파 소비지 판촉행사 참여 총무기획부 2025-04-21 941
2131 전직원 수입안정보장보험 관련 교육 수강 총무기획부 2025-04-18 742
2130 제주조공, 센터 방문하여 감귤 수급안정지원사업 논의 총무기획부 2025-04-15 890
2129 제주농협, 올해산 조생양파 280억 판매 목표 통합마케팅 추진 총무기획부 2025-04-14 445
2128 조천농협, 산불 피해 지역 '천혜향' 지원 총무기획부 2025-04-08 525
2127 "저관세 수입양파에 농가 고통 가중" 총무기획부 2025-04-08 608
2126 2025년 제주특별자치도 농정발전협의회 제1차 회의 총무기획부 2025-04-04 593
2125 제주행복만감, 또 왔수다 총무기획부 2025-04-04 536
2124 "맛있고 건강에도 좋은 조생양파가 왔어요!"...대정농협, 조생양파 본격 출하 총무기획부 2025-04-01 555
2123 제주농협, 만감류 소비 촉진 '총력' 총무기획부 2025-03-28 519
2122 [카드뉴스]여성농업인 위상과 권익 향상(맞춤형 정책 확대 실시) 총무기획부 2025-03-27 614
2121 한농연제주·오영훈 제주도지사"지속가능한 제주농업 발전 함께" 총무기획부 2025-03-27 578
2120 원예농산물 선제적 수급관리를 위한 주산지 전문인력양성과정 교육 참여 총무기획부 2025-03-27 51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