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류 품목별 우선순위 전략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5 12:05:12 ·조회수 : 2,181
<p></p>
<b><font size="5">감귤류 품목별 우선순위 전략 시급 </font></b>
<font size="4" color="blue">한미FTA 5차협상 개방안 가늠 분수령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24 김태형 기자
열흘 앞으로 다가온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5차 협상에서 양국간 농산물 시장 개
방안 협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감귤류에 대한 품목별 우선순위 전략이 시
급해지고 있다.
현재 감귤류 품목에 대한 협상 제외가 유동적인 상황과 미국 현지의 감귤류 생산 변
화 추이를 감안, ‘선택과 집중’ 차원의 협상 전략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다음달 4일부터 미국 몬태나주에서 열리는 한미 FTA 5차
협상인 경우 농산물 시장 개방안을 가늠짓는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
다.
제주도는 이와 맞물려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를 건의하고 있다. 하지만 오렌지, 맨더
린, 그레이프프루트, 레몬, 라임 등의 신선 감귤류와 이들 과일별 주스류 등 개별 협
상 품목만 24개에 이르고 있어 전 품목의 협상 제외가 가능할지 의문시되고 있다.
이들 품목은 현재 관세율에 있어 레몬 30%, 오렌지 50%, 오렌지주스 54%, 맨더린
144% 등으로 달리 적용받는가 하면 수입물량도 품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로볼때 본격적인 협상을 앞둬 수입 확대에 따른 감귤 피해도가 큰 개별 품목에 대
한 세부 분석자료를 점검, 품목별 우선순위를 정하는 전략 마련이 설득력있게 제기
되고 있다.
특히 민감품목 지정에도 일정부분 수입쿼터량을 정하는 저율관세할당(TRQ) 문제
가 남아있는데다 최근 미국 오렌지 산지에서 맨더린 재배를 늘리고 있는 현지 상황
을 고려, 효율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감귤 전문가들은 “오렌지와 맨더린, 오렌지주스 등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
들 품목에 우선순위를 두는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부도 제주도에 협상 우선순위 품목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것으로 알려져 주
목된다.
</font>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