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나의의견>제주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0 09:28:04      ·조회수 : 2,832     


<b><font size=5>
<나의의견>제주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font>
2007년 03월 20일 (화) 제주일보 <font size=3>

이용민 제주농협 지역본부 감귤팀장

지난해 2월 3일 한미 FTA협상이 공식 선언되면서 국내 농업계의 거센 반대와 극심한 국론 분열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8차에 걸친 협상이 진행됐다.

한미 양측이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농산물 분야는 고위급 회담에서 마무리할 것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감귤을 비롯한 우리 농업은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미 FTA가 체결될 경우 국내 농축산물의 가격 하락과 생산액 감소로 인한 ‘탈농’ 등 농업 포기 현상에서 빚어지는 손실액은 추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막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경제 단체에서는 한미 FTA로 농업의 선진화를 이룩하자는 논리를 펴고 있어 답답하고 걱정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농업을 경제원리의 잣대로만 재단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가 농업기반은 한번 무너지면 소생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특히 우리 제주도에서의 감귤산업은 지역경제를 지탱하는 근간산업이다. 한 마디로 지역경제의 뿌리와 같다. 도민들의 심리적인 요인까지 감안하면 감귤산업의 비중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근간산업의 붕괴는 제주도민의 생존권과 직결되므로 공산품을 위해 농산물을 내주는 한.미FTA협상에서 감귤을 지켜야 하는 당위성이 여기서 비롯된다.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과 함께 시작된 오렌지와 감귤시장 개방이 우리에게 준 시련과 고통은 감귤산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제주농업 전반에 휘몰아 치면서 깊은 생채기를 내고 있다.

감귤산업을 구조조정하는 가운데 폐원된 농지에 채소작물이 재배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은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가격형성과 판로난의 악순환이다. 이 같은 상황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러한 우리 농업현실 앞에서 우리 협상단과 정부는 미국과 대등한 입장에서 체결하는 FTA를 진정 수용해야 하는지 깊이 성찰해야 한다.

한미 FTA협상에서 감귤을 지켜 내기 위해 제주도민들은 감귤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 감귤을 쌀과 대등한 지위에서 협상해 줄 것을 정부 관계부처에 강력하게 건의하는 한편 감귤농가의 애타는 심정을 담은 서명부를 전달하기도 했다.

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지사도 한미 FTA 4차 협상부터 민간 합동 방문단을 구성해 국내와 미국 협상장을 방문, 미국측 협상단에게 제주감귤의 민감성과 제주도민의 염원을 대변하면서 협상 제외품목으로 다뤄 주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같은 일련의 활동과 노력들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도록 우리 제주도민들은 한마음이 돼 한미FAT를 지켜 볼 것이다. 또 우리의 뜻이 반영되지 않는 한미 FTA 협상 결과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싶다.

최근 한미 FTA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정치권의 주요 인사들까지 나서 한미 FTA협상의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에 힘을 싣고 있다. 특히 언론보도에 따르면 노무현 대통령도 지난 13일 국무회의에서 한미 FTA 협상과 관련해 “철저하게 실익 위주로 협상하고 합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따라서 정부와 우리 협상단은 한미 FTA협상에서 제주도민의 실익과 생존권을 고려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39 제주산 브로콜리 포장 개선···해상운송에도 '싱싱' 총무기획부 2025-04-29 504
2138 [카드뉴스]창립 1주년을 맞아 재래시장·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전개 총무기획부 2025-04-25 909
2137 [기고]농산물 수급안정의 시작,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총무기획부 2025-04-25 614
2136 재래시장 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총무기획부 2025-04-24 521
2135 제주 월간 무역수지 16년 4개월 만에 흑자 총무기획부 2025-04-22 858
2134 '미국산 공세에'...직격탄 맞은 제주도 만감류 시장 초비상 총무기획부 2025-04-22 849
2133 선별 · 저장 기술 현장 적용 확대로 '농산물 수급 안정' 총무기획부 2025-04-21 545
2132 2025년 제주 조생양파 소비지 판촉행사 참여 총무기획부 2025-04-21 942
2131 전직원 수입안정보장보험 관련 교육 수강 총무기획부 2025-04-18 743
2130 제주조공, 센터 방문하여 감귤 수급안정지원사업 논의 총무기획부 2025-04-15 890
2129 제주농협, 올해산 조생양파 280억 판매 목표 통합마케팅 추진 총무기획부 2025-04-14 450
2128 조천농협, 산불 피해 지역 '천혜향' 지원 총무기획부 2025-04-08 526
2127 "저관세 수입양파에 농가 고통 가중" 총무기획부 2025-04-08 609
2126 2025년 제주특별자치도 농정발전협의회 제1차 회의 총무기획부 2025-04-04 603
2125 제주행복만감, 또 왔수다 총무기획부 2025-04-04 536
2124 "맛있고 건강에도 좋은 조생양파가 왔어요!"...대정농협, 조생양파 본격 출하 총무기획부 2025-04-01 555
2123 제주농협, 만감류 소비 촉진 '총력' 총무기획부 2025-03-28 519
2122 [카드뉴스]여성농업인 위상과 권익 향상(맞춤형 정책 확대 실시) 총무기획부 2025-03-27 615
2121 한농연제주·오영훈 제주도지사"지속가능한 제주농업 발전 함께" 총무기획부 2025-03-27 578
2120 원예농산물 선제적 수급관리를 위한 주산지 전문인력양성과정 교육 참여 총무기획부 2025-03-27 51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