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내리고 또 내리는 비, 농작물 관리 ‘비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05 10:12:06      ·조회수 : 2,527     

내리고 또 내리는 비, 농작물 관리 ‘비상’
6월 하순 일조량 24시간 이상 줄어...감귤·수박 등 타격
제민일보 7/4 김영헌 기자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제주지역에 비날씨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농작물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제주특별지치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이후 계속되는 비날씨로 일조시간이 극히 부족해 감귤의 과동한 생리낙과 현상 등 각종 농작물 생육에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만생양파 등 일부 작물들은 빠른 시일내에 수확을 해야 하지만 비날씨가 반복되면서 농민들이 수확작업을 벌이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6월 하순 일조량을 보면 제주시지역 18.8시간, 서귀포시지역 10.1시간으로, 예년 46.9시간과 34.8시간에 비해 각각 28.1시간·24.7시간이 줄어들었다.
또 강수량도 제주시 221.5㎜·서귀포시 178㎜로 예년 98.3㎜·137.7㎜와 비교해 각각 123.2㎜·40.3㎜가 각각 증가하는 등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 인해 감귤은 일조부족 및 토양수분 과다로 2차 생리낙과가 급증하고, 잦은 비날씨로 농약살포가 어려워 흑점병 등 병해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또 수박과 참외는 착과율이 떨어지고 방제작업이 어려워 각종 병해충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장마기간에 잠시 개이는 날에는 예방위주의 방제작업과 배수로 재정비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기상청이 발표한 1개월 예보에 따르면 이달 중순까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오겠고,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 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5일 제주지역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고 한두차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며, 예상강수량은 10∼50㎜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79 감귤생과,가공식품 수출 확대 "표류" 기획정보과 2015-06-12 4013
1578 제주감귤적극적 대응만이 살길이다. 기획정보과 2015-06-11 3002
1577 "감귤 구조혁신"공방..."시장대응"VS"일방적 정책" 기획정보과 2015-06-03 3417
1576 올 제주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할 듯 기획정보과 2015-06-03 4689
1575 창조농업.6차산업 부르짖어도 가치 원천은 "땅" 기획정보과 2015-06-02 3859
1574 실패한 감귤정책 결국 농가만 떠안나 기획정보과 2015-06-01 4206
1573 "감귤' 언제까지 "젖먹이 노릇"할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5-06-01 4605
1572 올해 노지감귤 50만-53만6천톤 생산 전망 기획정보과 2015-05-29 3720
1571 감귤구조혁신방침"한발빼는 원" 기획정보과 2015-05-28 3663
1570 제주 감귤.청도 홍시 재배 농가와 상생 앞장 기획정보과 2015-05-27 3515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3875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3939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767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499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3800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696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419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655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264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31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