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25 09:56:41      ·조회수 : 3,030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제주일보 7/25 송경훈 기자
제3호 태풍 ‘에위니아’를 비롯해 7월 들어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 오는 날과 흐린 날이 계속되면서 농민들이 작물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7월 평균기온은 24.9도로 평년 25.3도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 23일까지 내린 비의 양은 300.8mm로 평년 한달치 강수량인 232.3mm를 크게 웃돌고 있다.

그러나 하루 평균 일조 시간은 평년 4.65시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2시간 밖에 되지 않아 높은 습도에 의한 각종 병해충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농가에서는 잠시 비가 갠 틈을 이용해 방제 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일조량이 부족한데다 잦은 비 날씨 때문 약효 지속시간이 짧아지며 다시 방제에 나서야 하는 등 이중의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따라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최근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 ‘주의보 1호’를 발표하고 농가의 철저한 방제작업을 당부했다.

노지감귤의 경우 흑점병과 깍지벌레, 시설감귤의 경우는 응애류에 의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수박과 참외 등 밭작물의 경우 토양이 함유하고 있는 많은 양의 습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 활력이 약해져 탄저병과 덩굴마름병이 우려됨에 따라 10일 간격으로 적용약제를 살포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업기술원은 이와 함께 참깨의 경우 가장 치명적인 역병의 확산에 철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79 감귤생과,가공식품 수출 확대 "표류" 기획정보과 2015-06-12 4012
1578 제주감귤적극적 대응만이 살길이다. 기획정보과 2015-06-11 3000
1577 "감귤 구조혁신"공방..."시장대응"VS"일방적 정책" 기획정보과 2015-06-03 3413
1576 올 제주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할 듯 기획정보과 2015-06-03 4679
1575 창조농업.6차산업 부르짖어도 가치 원천은 "땅" 기획정보과 2015-06-02 3840
1574 실패한 감귤정책 결국 농가만 떠안나 기획정보과 2015-06-01 4205
1573 "감귤' 언제까지 "젖먹이 노릇"할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5-06-01 4603
1572 올해 노지감귤 50만-53만6천톤 생산 전망 기획정보과 2015-05-29 3720
1571 감귤구조혁신방침"한발빼는 원" 기획정보과 2015-05-28 3662
1570 제주 감귤.청도 홍시 재배 농가와 상생 앞장 기획정보과 2015-05-27 3514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3875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3939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767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482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3800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696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418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655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263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31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